도서소개
이 책의 초판은 사회과교육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고히 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사회 변화 속도는 너무도 빠르고 세계화, 정보화로 인해 다양한 사회현상이 나타나면서 한국 사회의 상황도 남북문제 등 많은 변혁을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과 사회와의 총체적인 관계를 다루는 사회과교육은 그 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서 새로운 도전을 받게 되었고, 특히 목표와 교육과정의 구성과 교수-학습 방법에 획기적인 변화와 전환을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이 책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개정의 기본방향은 고등사고력 함양과 세계시민적 자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역점을 두었다. 또한 미래 사회과교육의 비전으로 다문화교육과 통합단원구성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부는 사회과교육의 기초로 사회과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사회과교육의 목표를 수정, 보완하였다.
제2부, 사회과교육과정의 구성에서는 사회과학 중심의 교육과정과 최근의 사회과 교육과정으로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제3부, 사회과교육의 교수-학습설계 부분은 대폭 개정하였다. 7장 교수-학습 모형과 발문전략에서 발문전략에 대한 내용을 보완하였고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했다. 8장 사실, 개념, 일반화, 이론의 교수-학습과 9장 논쟁을 다루기 위한 전략은 장을 달리하여 내용을 심화, 보충하였고 최근의 자료를 수정, 보완하였다. 12, 13, 14장의 사회과 기능교육, 가치교육, 평가 부분에서는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에서 새로운 자료를 보완하였다. 특히 기능교육에서는 읽기, 쓰기 자료를 통해 논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구성하였다.
제4부, 21세기 사회과교육의 전망은 이 책에서 새로운 구성을 시도하였다. 앞으로 사회변화에 따른 내용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세계시민교육, STS, 양성평등교육, 봉사학습, 나눔학습 등을 제시하였고, 특히 미래 사회과교육의 방향으로 다문화교육, 통합단원구성을 제시하였다. 다문화교육, 통합단원을 미래 사회과교육의 방향에서 제시한 것은 고등사고력 함양을 위한 창의력, 비판력, 합리적 사고능력을 기르기 위해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처음부터 끝까지 원고를 읽고 수정해 준 최윤정, 강주연 대학원생의 도움이 컸다. 사회과 교실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자료와 학습지도안을 제시해 준 배지현 교사에게도 감사의 말을 전한다. 좋은 책을 만들기 위해 여러 가지로 배려해주신 교육과학사 김동규 사장님, 이만재 상무님, 특히 여러 번 연구실을 오가며 애써주신 이정호 실장님과 그 외 편집부 여러분께 감사 드린다.
이 책은 학생들의 고등사고력 함양을 위해 창의적, 비판적, 합리적 사고를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향상시키고자 노력하는 사람들과 사회과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생과 대학생, 그리고 사회과 현장교사를 염두에 두고 쓰여졌다. 이 책이 세계시민적 자질 함양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많은 분들과 읽기, 쓰기 기능과 함께 논술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교육자들에게 다양한 연구의 동기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한다. 그래서 사회과교육이 더욱 발전적인 방향으로 연구되어지기를 기대한다. 또한 우리나라가 합리적 사고과정을 바탕으로 한 보다 민주적인 사회로 발전하고 성숙된 민주시민, 세계시민을 교육하는 데 폭을 넓히고 깊이를 더해 줄 수 있는 구체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머리말∙3
제1부 사회과교육의 기초
제1장 사회과교육의 성격 및 발달과정 13
1. 사회과교육의 기초 13
2. 사회과교육의 역사적 발전과정 34
제2장 사회과교육의 목표 55
1. 사회과교육의 목표로서 민주 시민성 교육 56
2. 민주시민교육의 흐름과 연구 동향 60
3. 사회과교육의 다양한 목표 72
제2부 사회과교육과정의 구성
제3장 사회과교육과정의 기초 83
1. 교육과정구성의 일반 원리 84
2. 사회과 교육과정의 조직 형태 91
제4장 사회과학 중심의 사회과 교육과정 99
1. 사회과교육의 학문적 기초 100
2. 개념중심의 통합 121
제5장 최근의 사회과 교육과정 125
1. 사회과교육과정의 다양성 126
2. 스트랜드 및 주제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137
3. 새로운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149
제3부 사회과교육의 교수-학습 설계
제6장 사회과 교수-학습 설계의 기초 157
1. 일반적인 교수학습 설계 158
2. 사회과에서의 교수 전략과 학습 활동 선택 166
3. 사회과에서의 교수-학습 자료 선택 171
4. 단원계획 및 수업계획 172
제7장 사회과 교수-학습 모형과 발문전략 187
1.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188
2.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도입의 필요성 191
3. 교수-학습 모형 192
4. 발문전략 228
제8장 사실, 개념, 일반화 이론의 교수-학습 239
1. 사실의 성격과 학습 240
2. 개념의 특성과 교수-학습 243
3. 개념의 교수-학습 과정 249
4. 개념 교수-학습의 실제 257
5. 일반화의 성격과 교수-학습 263
제9장 논쟁문제를 다루기 위한 전략 277
1. 논쟁문제의 기초 278
2. 논쟁중심의 사회과교육 내용 구성 285
제10장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313
1. NIE(Newspaper in Education, 신문 활용 교육) 314
2. 사회과교육에서의 웹자료 321
3. 고등사고력 함양을 위한 읽기와 쓰기 344
4. 기타 교수-학습 방법 355
제11장 고등사고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359
1. 고등사고력의 개념과 본질 360
2. 고등사고력을 향상시키는 전략 372
제12장 사회과의 기능교육 383
1. 기능의 개념 385
2. 기능교육의 종류 387
3. 기능개발의 교수전략과 실제 394
4. 실제 수업 적용의 예 423
제13장 사회과의 가치교육 427
1. 가치의 개념과 특성 428
2. 가치교육의 개념과 내용 430
3. 가치교육의 접근방법 435
4. 실제 수업 적용의 예 449
제14장 사회과의 평가 457
1. 평가의 개념 및 목적 459
2. 평가의 원리 462
3. 사회과교육의 새로운 평가 468
4. 평가 개발 지침서와 평가 과정 500
제4부 21세기 사회과교육의 전망
제15장 21세기 사회과교육의 전망 511
1. 21세기의 사회 변화와 사회과교육 512
2. 세계시민교육 516
3. STS(Science, Technology, Society) 536
4. 양성평등교육 547
5. 다문화교육 559
6. 통합교과단원 572
7. 봉사학습(Service Learning)과 나눔교육 589
8. 미래 사회과교육의 방향 596
찾아보기∙603
저자소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 생활학과 교수(사회학, 사회과교육 전공)
∙논 문
민주 시민성 구성요소의 두 가지 차원, 국제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사회문제 중심의 교육과정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사회발전과 사회과교육의 기본방향, 사회과 사회·문화교육론, 교육과정에 나타난 남북한 여성상의 의미 외 다수
∙교과서
고등학교 공통사회(상) 전자교과서 개발, 고등학교 사회문화 외 다수
∙역 저
사회과교육, 사회과 탐구논리 등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