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목차
1장 출발, 지금 고창은 9
지금 고창은 11
2장 도산 고인돌 아름마을 17
전통이 흐르는 도산마을 19
김정회(金正會) 고가 22
도산서당 30
3장 절벽이 껴안고 있는 그 절 37
소요사(逍遙寺) 39
연기조사(緣起祖師) 45
소요대사 태능 47
4장 청련암과 그 때 그 청년들 51
내소사 청련암 53
흥동장학회의 회원들 56
인촌 김성수(서기 1891~1955) 59
근촌 백관수(서기 1889~?) 66
고하 송진우(서기 1890~1945년) 74
5장 무성서원에서 만난 사람 79
무성서원 81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 서기 857~?) 84
불우헌 정극인(不憂軒 丁克仁; 서기 1401~1481) 88
6장 문(文)은 장성만한 곳이 없다. 97
장성과 성리학 99
필암서원과 하서 김인후 107
하서 김인후 111
고산서원과 기정진 117
노사 기정진(서기 1798~1876) 119
송사 기우만(松沙 奇宇萬: 서기 1846~1916) 124
7장 일본에 성리학의 밭을 일군 수은 강항 129
바닷물에 투신 131
포로생활 135
그리운 귀국 그리고 질시와 동정 142
가계와 성장과정 145
8장 시가 흐르는 영산강 147
영산강 149
반가(班家)가 있는 회진 마을 152
백호 임제(白湖 林悌; 서기 1549~1587) 159
잠령의 민정(蠶嶺閔亭) 164
9장 무안에서 초의 스님을 만나다. 171
초의 스님과의 만남 173
초의 스님은 다성(茶聖)인가, 시성(詩聖)인가 179
스님은 왜 또 대선사(大禪師)일까 185
초의 스님과 다산의 만남 189
속세에서의 여정 194
일지암 시절 199
10장 벽항에 살다간 실학자 그이 207
방촌마을 209
출신 배경과 일생 212
존재의 학문적 태도와 기본적 입장 217
11장 낙암(樂庵) 위에 만발한 성리학 225
논변(論辯)과 또 하나의 논변 227
고봉 기대승(高峯 奇大升)은 어떤 사람일까 231
중앙 무대에서의 삶 236
낙암(樂庵)에 만발한 성리학 244
선조의 세 차례 부름과 영원한 이별 247
월봉서원(月峯書院) 251
12장 봉황이 둥지로 돌아온다는 그 산자락의 절 255
봉황이 둥지로 돌아온다는 그 산 257
태안사 가는 길 259
풍수지리설의 원조 도선국사 267
13장 격동기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애국의 선비 275
절명시(絶命詩) 277
가계와 생애 282
매천야록(梅泉野錄) 291
매천 시(詩)의 감상 294
14장 임진·정유왜란과 장수 산골 사람들 299
장수(長水)라는 곳 301
적장을 껴안고 투신한 의암 주논개(義巖 朱論介) 303
왜적도 감복한 충복(忠僕) 정경손(丁敬孫) 311
유방을 잘라 왜놈에게 던진 오씨(吳氏)부인 316
15장 그 바위에 선 와룡암 319
주천의 무이구곡(武夷九曲) 321
와룡암의 창건 325
와룡암 강당 상량문 328
긍구당 김중정(肯構堂 金重鼎) 329
와룡암의 학문과 전통의 계승 332
인물교류와 그 유적들 337
성재 김우식(誠齋 金宇植, 서기 1843~?)과 개화운동 338
서하 김태현(西荷 金泰鉉, 서기 1847~1919)과 사립화동학교 340
참고문헌 / 346
저자소개
저자 김 경 식
전북 고창 출신, 서기 1938년생으로 전주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법률학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거쳤으며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전주교육대학교, 전주대학교 사범대학, 대전대학교, 한남대학교 사범대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등에서 교육학(교육학개론, 교육사·철학, 동양교육사, 교육철학 등)을 강의했으며, 군장대학교에서 정년퇴직한 후 동신대학교 초빙교수로 학부와 대학원에서 교육학개론, 교육사·철학, 교육사상 등을, 목포대학교에서는 교직과의 교육학개론, 교육사·철학을 강의하였다.
학회활동으로는 한국교육사학회 회장(제17대), 한국교육철학회 감사, 한국비교교육학회 이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예활동으로는 서기 1997년 문예사조에서 수필문학상으로 문단에 등단하였다. 등단작으로는 ‘대련에서 만난 여인’, ‘하안 목련이 필 때면’, ‘만추의 선운사를 거닐며’ 등 수십 편이 있다.
현재 한국에서는 연정교육문화연구소를 운영하며, (사)한국교육사상연구회 이사로 있으며, 중국에서는 연변대학 사범학원 객좌교수,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석좌교수로 있다.
퇴직 전의 저서
「교육사·철학강요」(1985)
「율곡의 향약과 사회교육사상」(1986)
「교육학개론신강」(1988)
「교육사·철학강의」(공저: 1991)
「고창군지」(공저: 1992)
「한국현대교육의 재평가」(공저: 1993)
「교육학총정리(상)·(하)」(1995)
「고창의 교육」(1995)
「교육사·철학신론」(1996)
「교육학개론」(1996)
「광복50년 전북발전사」(공저: 1996)
「교육방법론」(1997)
「교육방법·공학」(공저: 2001)
「조선족생활사(중국학자 2인과 공저: 2001)
「신교육100년사(제18권: 호남편)」(공저: 2002)
퇴직 후의 저서
「고창의 전통과 생활사」(2004)
「재중한민족교육전개사(상)·(하)」(2004)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2005년도 우수학술도서
「중국교육전개사」(2006)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2007년도 우수학술도서
「한민족교육문화사」(2008)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2009년도 우수학술도서
「중국교육사략(상)」(2009)
「중국교육의 굴기」(중국학자와 공저: 2010)
「중국현대교육전개사(상)·(하)」(2012)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2013년도 우수학술도서
「논어에서 본 공자의 교육 이야기」(2013)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