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시적이란 말은 한눈에 보일말큼 분명하다는 뜻이다. 따라서 명시적 교수란 배우는 학생들이 배우는 내용을 잘 들었을 때 한번에 제대로 이해하도록 가르치는 교수방법이다. 명시적 교수는 직접교수를 할 때 필요한 여러 가지 기법들을 총 발휘하여 학생들이 쉽고 분명하게 배우도록 시범 보이고(I do it), 처음 배우는 내용이라 선뜻 해보려 들지 않는 학생들을 유도하는 안내된 연습(We do it), 그리고 나서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배운 것을 연습해보는 점검(You do it) 단계로 가르치는 교수방법이다. 
 이 책의 원저자들은 학습부진 학생이나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주요 내용을 가르칠 때, 즉 그러한 수업을 디자인할 때 어떻게 디자인해야 하는가에 대한 명시적인 설명과 그것을 적용하는 사례를 각 장별로 시의적절하게 제시하고 있다. 중요한 기본 개념이나 원리를 명시적으로 완전학습이 자동화 수준으로 이루어질 때, 그때부터 학생들은 제대로 탐구학습이나 프로젝트 학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명시적 교수는 초등학교 교사에서부터 중등학교 교사들도 반드시 섭렵하여 교수방법의 기본기를 갖추어야 한다. 
								
					목차
					저자소개 3 
서언 4
감사의 말 8 
Chapter 01 명시적 교수에 관한 토대 탐색 13 
명시적 교수의 요소 15 
명시적 교수를 뒷받침하는 확산적/누적적인 증거: 선정된 연구물 요약 29 
명시적 교수에 관한 가능한 우려에 대한 반응 35 
1장 요약 및 최종 사례 연구 40 
Chapter 02  수업 디자인: 기술 및 전략 43 
명시적 수업의 도입 46 
적용 2.1 명사적 수업을 위한 도입의 예 51 
명시적 수업의 전개 53 
적용 2.2 수업 도입, 시범, 유도나 안내된 연습에 대한 분석 60 
명시적 수업의 정리 66 
적용 2.3 시범 수업: 괄호가 있는 식의 계싼 69 
적용 2.4 시범 수업: 중심 생각을 결정하기 72 
적용 2.5 시범 수업: 연속적인 세 문장 조직하기 수업 76 
2장 요약 82 
적용 2.6 잠재적인 문제파악 및 해결책 만들기 83 
적용 2.7 명시적 수업 디자인하기 83 
Chapter 08 수업 디자인: 어휘 및 개념 85 
명시적 어휘 교수 준비하기 89
적용 3.1 초기의 소리내어 읽기를 위한 어휘 선택 96 
적용 3.2 5학년 교과서 수업을 위한 어휘 선택 99 
적용 3.3 중학교 사회시간을 위한 어휘 선택 100 
적용 3.4 학생들에게 친숙한 설명 만들기 103 
적용 3.5 정의로부터 결정적 속성을 결정하기 111 
명시적 어휘 수업의 일상적인 절차 113 
적용 3.7 일상적인 기본 수업절차에 맞게 어휘 수업을 디자인하기 115 
어휘 수업 확장 125 
3장 요약 133 
Chapter 04 수업 디자인: 규칙 135 
명시적 수업을 위한 적절한 규칙을 선정하라 137 
예와 비-예를 개발하라 138 
적용 4.1 규칙의 결정적 속성 결정하기 139  
적용 4.2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만들기 141 
적용 4.3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비-예 만들기 144 
규칙을 가르치기 위한 일상적인 수업절차 145 
적용 4.4 규칙 진술하기 146 
적용 4.5  규칙 수업 디자인하기 154 
4장 요약 155 
Chapter 05 수업 조직하기 157 
물리적 공간 조직하기 159 
적용 5.1 교실의 물리적 구성 평가하기: 활동영역 정하기 164 
적용 5.2  교실 배치 분석 165 
교실 규칙 수립하기 170 
적용 5.3 교실 규칙들의 분석 173 
일상적인 절차와 과정 수립하기 176
적용 5.4 교실의 일상적인 절차 또는 과정을 요구하는 상황들 
5장 요약 186 
Chapter 06 수업 배송하기 189 
수업 전개하기: 반응 도출하기 191 
빈번한 반응 요구하기 192 
성공적인 반응 234 
적용 6.1 활동 참여 수업의 분석 236 
대안적인 문장-읽기 과정 242 
6장 요약 246
Chapter 07 수업 배송하기: 기타 수업 배송 필수 기술 249 
학생 수행을 주의깊게 모니터하라 251 
즉각적, 긍정적,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라 252 
적용 7.1 교정의 예와 비-예 260 
적용 7.2 칭찬의 예와 비-예 270 
수업을 활발하게 배송하라 274 
적용 7.3 지루한 수업과 경쾌한 속도의 수업 276 
7장 요약 279 
적용 7.4 수업 관찰 279 
Chapter 08 적절한 독립적 연습 제공하기 281 
초기의 연습 285
배분된 연습 286 
누적적 연습과 누적적 검토 286 
적용 8.1 초기의, 배분된, 누적적 연습 디자인하기 291 
무엇이 연습되어질 것인가? 292 
과제는 어떻게 디자인되어질 것인가? 293 
적용 8.2 연습활동 선정하기 299 
적용 8.3 사례 연구: Samuel의 과제 개별화하기 301 
과제가 학생들에게 어떻게 제시될 것인가? 309 
과제는 어떻게 평가되고, 피드백은 제공될 것인가? 310 
독립적 연습을 촉진시키기 위해 어떤 일상적 절차가 주어질 것인가? 317 
숙제 321 
8장 요약 333 
Chapter 09 결론 335 
부록 339 
복사 가능한 자료 341 
적용 연습에 대한 피드백 346 
참고문헌 377 
역자후기 394 
색인 395 				
 
				
								
					저자소개
					김윤옥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B.A.) 
부산대학교 대학원 교육사회학전공(M.A.) 
미국 West Virginia 주립대학교 사회복지전공(M.A.) 
미국 West Virginia 주립대학교 특수교육전공(학습장애, Ed.D.) 
강옥려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과(B.A.)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전공(정신지체, M.A.) 
미국 University of Oregon 특수교육전공(학습장애, M.A.) 
미국 University of Oregon 특수교육전공(학습장애, Ph.d.)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유아, 특수교육과 교수 
강미라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B.A.)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정신지체전공, Ph.D.) 
현재 일본 히로시마대학원 교육학연구과 객원연구원 
강영하 
공주대학교 교육학과(B.A.)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전공(M.A.)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전공(Ph.D.) 
현재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