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교육과정' 분야는 교육학 내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대표적 영역 가운데 하나이다. 교사들의 교실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교원의 전문적 자율성을 구성하는 필수적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학부 과정이나 대학원의 예비 교사들, 그리고 초,중등학교 현장 교사들로 하여금 교육과정 분야를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교육과정 분야의 국내외 문헌들이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주제들을 중핵 요소로 추출하여 9개장으로 구성하였다.
목차
머리말 3
1장 교육과정의 개념과 성격
1. 교육과정의 개념 정의 14
가. 어원에 기초한 정의 16
나. 교육과정 학자들의 정의 16
2. 교육과정의 유형 31
3. 사회변화와 교육과정 38
가. 사회 문제와 위기 현상 38
나. 사회변화 추세와 새로운 인간 능력의 요청 40
2장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1. 미국의 교육과정 변천 개요 46
2. 한국의 교육과정 변천사 49
가. 교육에 대한 긴급 조치(1945) 50
나. 교수요목 시기(1947~1954) 51
다. 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53
라.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54
마. 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58
바.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60
사. 제5차 교육과정기(1987~1992) 63
아. 제6차 교육과정기(1992~1997) 66
자. 제7차 및 2007 부분 개정 교육과정기(1997~2009) 72
차. 2009 개정 교육과정기(2009~현재) 77
3장 교육과정 이론화의 관점
1. 교육과정 이론화의 범주 84
가. 처방적 교육과정 이론: 최상의 교육과정 개발을 지향 88
나. 기술적 교육과정 이론: 교육과정 개발의 지도 작성 89
다. 비판적-탐색적 이론화: 과거, 현재, 미래를 통한 교육과정의 이해 91
2. 교육과정의 제 관점과 그 특징 95
가. 인본주의 교육과정 99
나. 사회재건주의 교육과정 101
다. 체제적 교육과정 104
라. 학구적 교육과정 106
4장 교육과정 개발 모형론
1. 처방적-절차적 접근 112
가. Tyler의 합리적 개발 모형 113
나. Taba의 귀납적 모형 115
다. Wiggins & McTighe의 후진 설계 모형 117
라. 종합 논의 123
2. 기술적-해석적 접근 124
가. Walker의 실천적 숙의 접근 125
3. 비판적 접근 129
가. Eisner의 예술적 비평모형 130
나. 비판이론의 관점 133
5장 교육과정 목적 및 목표의 설정
1. 교육과정 목표의 위계와 유형 138
가. 목표의 위계 138
나. 목표의 유형 141
2. 교육과정 목표 설정의 접근 방식 143
가. 합리적-기술적 모형 143
나. 대안적 접근 방식 146
3. 교육과정 목적과 목표의 설정 148
가. 교육과정 목적 설정의 제 자원 148
나. 교육과정 목표 설정의 준거 150
4. 교육목표 분류학: 인지적, 정의적, 심리-운동 영역 153
가. 인지적 영역의 목표 154
나. 정의적 영역의 목표 156
다. 심리-운동적 영역의 목표 157
5. 신 교육목표 분류학 159
가. Hauenstein의 신 교육목표 분류 159
나. 인지적 영역의 분류 161
다. 정의적 영역의 분류 163
라. 심동적 영역의 분류 165
마. 행동적 영역 168
6장 교육과정 설계 유형론
1. 교육과정 내용의 성격 174
가. 교육과정 내용: 결과와 과정 178
나. 교육과정 내용으로서의 지식 범주론 182
2. 교육과정 내용의 선정 원리 184
3. 교육과정 내용의 조직 원리 192
가. 범위(scope) 196
나. 계열성(sequence) 199
다. 통합성(integration) 208
라. 연속성(계속성, 반복성, continuity) 212
마. 연관성(articulation) 213
바. 균형성(balance) 213
4. 교육과정 설계의 대표적 유형 214
가. 교과 중심 설계(Subject Matter-Centered Designs) 216
나. 활동 중심 설계(Activity-Centered Designs) 220
다. 문제 중심 설계(Problem-Centered Designs) 223
7장 교육과정 차별화 정책
1. 교육과정 차별화의 요구: 교실 속의 두 고도 232
2.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과 논쟁 239
가. 수준별 교육과정의 성격 239
나. 수준별 교육과정 논쟁 247
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과 연구 250
라. 교육과정 압축 253
마. 병행 교육과정의 개발(the parallel curriculum) 260
8장 교육과정 의사결정과 실행
1. 누가 교육과정을 결정하는가? 276
가. 교육과정 의사결정의 수준 276
나. 교육과정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세력 280
2. 교육과정을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 282
가. 충실도 관점 284
나. 적응(재구성) 관점 286
다. 교육과정 생성 관점(curriculum enactment perspective) 288
3. 교육과정 실행의 지원: 관심 기반 채택 모형(Concern-Based Adoption Model) 292
가. 관심의 수준 292
나. 활용 수준 293
9장 교육과정의 최근 동향
1. 교육과정 관련 법규 298
가. 교육과정 관련 법규의 체계 298
나. 교육과정의 법적 쟁점 303
다. 교육과정과 수업 307
라. 교과용 도서에 관한 법규 310
2. 교육과정 컨설팅 315
가. 교육과정 컨설팅의 개념 315
나. 교육과정 컨설팅의 방향과 과업 320
3. 다문화 교육과정 325
가. 다문화교육의 개념 325
나. 다문화교육의 유형 329
다. 다문화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접근 방법 332
라. 다문화교육의 목표 335
마. 다문화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 337
4. 구성주의 교육과정 342
가. 구성주의의 의미 342
나. 개인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 343
다. 구성주의 학습 환경 346
라. 구성주의 교육과정에서 교육내용의 설계 348
마. 구성주의 교사의 역할 351
5. 창의적 체험활동 352
가. 창의적 체험활동의 성격 353
나.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표 355
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체계 356
라.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 운영의 기본 방향 및 중점 사항 358
마. 창의적 체험활동의 평가 361
바.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의의 363
참고문헌 365
찾아보기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