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개정판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개정의 필요를 느끼고 수정 및 보완하였다.
첫째, 교육학 개론서는 교육에 대한 여러 관점을 균형 있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구성 면에서 교육의 역사 부분을 다루지 않았다. 이에 개정판에서는 한국교육사에 대한 내용을 서울대 우용제 교수가 추가로 집필하였다.
둘째, 교육학 개론서는 교육에 대한 참신한 내용을 다루어야 한다. 책의 내용 면에서 개정판은 교육환경의 변화 및 학문적 발달 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 책에서는 교육 관련 법규나 교육과정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관련 내용들을 보완하였다.
셋째, 교육학 개론서는 교육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시키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이 책은 학생들이 교육과 교육학에 대해 흥미를 가지도록 하는 축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달성했는가? 솔직히 이 책에 쉽고 흥미로운 부분도 있지만, 어려운 부분도 있다. 이에 책 내용을 보다 더 쉽고 재미있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육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을 하기보다는 실제적인 교육 문제와 교육 장면을 다룸으로써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자 하였다.
넷째, 교육학 개론서는 사회적 요구나 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한 교수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MOOC(Massive Online Open Courses)와 같이 질 높은 온라인 강의들이 대중에게 무료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미래에는 대학이 없어질 것이라는 위협적인 예측까지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을 통해 기본 정보에 대한 사전 학습을 한 후, 그것을 바탕으로 교실 수업에서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하도록 하는 flipped learning이 하나의 교수법으로 유행하고 있다. 이에 대학의 수업은 학생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기보다는, 학생들을 다양한 수업 활동에 참여시킴으로써 학생들의 고등 사고 능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를 고려할 때, 교수자 및 학생들에게 책 이외에도 여러 가지 교육용 보조 자료가 교재로써 함께 공급될 필요가 있었으며, 이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목차
제2판 머리말 3
머리말 6
제1부/교육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변해왔나? 15
Chapter_ 1
교육의 필요성과 성격 17
제1절 교육의 필요성과 유형 19
제2절 교육의 기본 요소 28
제3절 교육학의 성격과 교육의 비전 38
Chapter_ 2
교육의 개념과 목적 53
제1절 교육의 의미와 교육관 55
제2절 교육의 여러 가지 정의 63
제3절 교육의 목적 76
Chapter_ 3
한국 교육의 역사적 이해 87
제1절 전통 사회의 교육 89
제2절 일제 강점기의 교육 100
제3절 현대 사회의 교육 105
제2부/인간은 어떻게 발달하고 어떻게 배우나? 119
Chapter_ 4
인간발달과 교육 121
제1절 인간발달의 특징 123
제2절 유전과 환경 130
제3절 인지발달 135
제4절 정의적 발달 147
Chapter_ 5
학습이론 159
제1절 행동주의 학습이론 161
제2절 인지적 학습이론 170
제3절 정보처리이론 180
Chapter_ 6
수업이론과 수업매체 193
제1절 수업의 준비 195
제2절 수업의 과정 201
제3절 수업매체 220
제3부/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하나? 229
Chapter_ 7
교육과정의 이해 231
제1절 ‘검치 호랑이 교육과정’ 이야기 233
제2절 ‘검치 호랑이 교육과정’에서 드러나는 세 가지 관점 237
제3절 교육과정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240
제4절 교육과정의 다양한 의미 244
Chapter_ 8
교육평가의 이해 253
제1절 교육평가의 의미 255
제2절 교육평가에 대한 관점 257
제3절 교육평가의 유형 262
제4절 교육평가의 모형 267
제4부/교육은 사회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나? 275
Chapter_ 9
교육과 평등 277
제1절 교육평등의 관점 279
제2절 교육과 사회평등의 관계 283
제3절 한국 산업화 과정에서 교육과 사회계층이동 293
Chapter_ 10
교육과 직업성취 301
제1절 교육과 직업세계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 303
제2절 학력주의와 능력주의 312
Chapter_ 11
공교육제도의 태동과 전개, 그리고 미래 325
제1절 공교육의 개념 327
제2절 공교육제도 태동의 배경 329
제3절 공교육제도에 대한 도전과 대응 논리 333
제5부/교육을 어떻게 운영하고 관리하나? 345
Chapter_ 12
교육행정의 접근과 교육조직의 운영 347
제1절 교육행정의 개념과 원리 349
제2절 교육행정의 접근 355
제3절 교육조직의 실제와 운영 366
Chapter_ 13
교육정책의 이해 375
제1절 교육정책의 개념 377
제2절 교육정책의 과정 378
제3절 교육정책과정의 참여자 392
제4절 교육정책과 법률 394
Chapter_ 14
교직과 교사 399
제1절 교사의 개념과 중요성 401
제2절 전문직의 특성에 비추어 본 교직의 특성 407
제3절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과 능력 411
찾아보기 425
저자소개
홍 은 숙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시라큐스대학교 교육문화기초학과 박사(Ph. D., 교육철학 전공)
前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現 성결대학교 교직부 교수, 교직부장
교수학습지원센터장
<주요 저서>
지식과 교육(1999)
현대사회와 교육의 이해(개정판)(2004, 공저)
교육의 개념: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2007)
우 용 제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석사 및 박사(교육학박사, 교육사 전공)
前 청주교육대학교 교수
교육사학회 회장
한국교육사학회 회장
現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주요 저서>
한국교육사(1997, 공저)
근대한국초등교육연구(1998, 공저)
조선후기 교육개혁론 연구(1999)
한국유학사상대계(5): 교육사상편(2006, 공저)
이 한 규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교육심리학과 박사(Ph. D., 교육심리학 전공)
前 위스콘신대학교 와이즈만센터 연구원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장
現 인제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주요 저서>
언어발달과 언어처리(2002)
성격탐구(2005, 공역)
김 재 춘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UCLA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Ph. D., 교육과정 전공)
前 한국교육개발원/한국교육과정평가원 책임연구원
대통령비서실 교육비서관, 교육부 차관
現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주요 저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2000)
교육과정(2016)/들뢰즈와 교육(2016, 공저)
김 영 화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교육사회과학 프로그램 박사(Ph. D., 교육사회학 전공)
前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 연구본부장
국제노동기구(ILO) 제네바본부 수석연구원
한국교육사회학회 회장
現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사범대학장/교육대학원장
<주요 저서>
한국의 교육과 사회(2000)/학습사회의 교육학(2005, 공저)
지역사회 교육개혁을 위한 시민사회조직의 참여(2010)
교육사회학(2010)
한국 산업화 시기의 교육과 경제성장(개정판, 2015)
김 재 웅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교육정책학과 박사(Ph. D., 교육정책 및 행정 전공)
前 한국교육개발원 책임연구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한국열린교육학회 회장/한국교육정치학회 회장
現 서강대학교 교육문화 전공 교수
<주요 저서>
정치로부터 자유로운 교육(2001)
홈스쿨링의 정치학(2010)
교육행정 및 학교경영의 이해(제2판)(2011, 공저)
미국 공교육의 역사 새로 보기(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