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한국의 고등교육이 상아탑에서 직업교육의 전당으로 변질되어 버린 작금의 세태에 대해 존 닉슨의 글은 구체적인 해결책이 아니라 본질적인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다. 신자유주의로 인한 고등교육의 폐해와 문제점을 일일이 적시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도구적 접근을 취했다면 본 글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지극히 제한적이었을 것이다. 어느 사회나 그들의 관점과 선호 혹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언제나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존 닉슨은 본 책을 통해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던 것이 아니라, 사회라는 공동체와 글로벌 세계 안에서 시민정신은 무엇이고, 그에 필요한 인식과 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철학적인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편적 시사점 그리고 본질적 지향점을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목차
역자 서문 3
들어가는 글 9
감사의 글 18
CHAPTER_ 1 공공성의 후퇴 21
CHAPTER_ 2 사회적 구상 49
CHAPTER_ 3 시민적 구상 79
CHAPTER_ 4 세계적 구상 105
중간글: 구상에서 실재로 131
CHAPTER_ 5 인간의 역량 135
CHAPTER_ 6 인간의 이성적 판단 163
CHAPTER_ 7 인간의 목적 195
CHAPTER_ 8 공공성의 귀환 225
마침글: 가능성에 대한 감각 257
참고문헌 262
찾아보기 284
저자소개
유 성 상
서울대학교(학사, 석사)와 UCLA(Ph.D)에서 국제비교교육학을 공부했다. 구조화된 사회의 문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는지에 관한 주제를 주요한 연구주제로 삼고 있다. 형식적 교육기관으로서의 학교뿐만 아니라 비형식적이고 무형식적인 교육의 장에서 사회변화의 기제가 훨씬 융통성 있게 작동한다고 생각하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개입을 교육적으로 설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들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교육을 비교하는 데 많은 시간을 투입한다. 지금은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교육사회학, 교육발전론, 국제-비교교육론을 강의하고 있다.
김 용 련
고등교육 공공성 확보를 위하여 ‘한국고등교육 통합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현재는 마을교육공동체 관련 연구와 함께 마을을 통한, 마을에 관한, 마을을 위한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등교육뿐만 아니라 공교육 전반에 걸쳐 교육의 공공성 확보 그리고 교육에 대한 사회적 참여와 책임을 강조하고 있다. 역자는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교사양성을 위한 강의와 연구활동을 진행 중이다.
이 길 재
미네소타 대학과 뉴욕시립대학 시스템에서 각종 고등교육정책을 주도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최근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체제의 이상적 발전방안에 관한 다수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대학생들의 실질적인 성장을 가져오는 교육경험이 무엇인지에 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대학의 성과관리 시스템 모델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데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다. 역자는 현재 충북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과 연구에 진력하고 있다.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