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목차
책머리에 5
제Ⅰ부 • 사료 비판 총론 15
제1장 사료란 무엇인가? 17
1. 사료의 정의와 종류 18
1) 유형의 사료 18
2) 무형의 사료 25
2. 사료의 분류 26
1) 문헌 자료에서의 1차 사료와 2차 사료 27
2) 금석문 자료에서의 1차 사료와 2차 사료 28
3) 직접 사료와 간접 사료 29
4) 2차 사료와 3차 사료 30
제2장 사료 비판은 왜 하는가? 33
1. 사료 비판이란 무엇인가? 34
2. 사료 비판은 어떻게 하는가? 34
1) 외적 비판: 사료 자체의 진위 판별 34
2) 내적 비판: 사료 내용의 사실성 판별 44
제3장 사료를 파악할 때 무엇에 유의해야 하는가? 57
1. 비판적으로 접근하되 지나치게 말살적인 태도는 경계해야 58
2. 사료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해야 61
3. 필사 및 재록(再錄) 과정에서의 오류 가능성을 고려해야 66
4. 판본(版本) 제작 과정에서의 착오 여부에도 신경 써야 69
5. 사료의 맥락을 제대로 짚을 수 있어야 78
6. 선입견에 얽매이지 말아야 84
7. 선학의 불합리한 추측을 금과옥조로 삼아서는 안 돼 90
8. 사료를 남긴 사람의 의식구조를 잘 살펴보아야 94
9. 기타 유의할 점들 98
10. 사료를 대할 때 가져야 할 자세 101
제4장 중국 측 문헌 자료의 사료 비판 103
1. 한국 고대사 관련 중국 측 문헌 자료의 사료적 성격 105
1) 중국 왕조가 직접 관련된 사건을 기록한 자료 105
2) 중국 왕조가 접촉을 가진 상대 국가의 내부 사정을 기록한 자료 106
2. 왜곡과 와전(訛傳) 109
1) 전언(傳言) 과정에서의 의도적 왜곡의 사례 109
2) 관찰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 와전(訛傳)의 사례 110
3) 과장된 전언(傳言)의 무비판적 수록의 사례 111
4) 전쟁 관련 기사에서 보이는 의도적 왜곡의 사례 112
5) 혐오감과 멸시감이 반영된 왜곡의 사례 114
3. 전록(轉錄) 과정에서 비롯된 오류 116
1) 교감(校勘)에 있어서의 오류의 사례 118
2) 필사본의 전승 과정에서 발생한 ‘오자(誤字)’의 사례 120
3) 전록 과정에서 발생한 ‘도치(倒置)’의 사례 123
4) 일부 판본에서의 자의적 단락 구분이 초래한 ‘오해(誤解)’의 사례 124
4. 선입견에서 발생한 오독 및 자의적 해석으로 인한 왜곡 127
1) 사서 편찬자의 선입견에서 비롯된 ‘오독(誤讀)’의 사례 127
2) 명칭의 자의적 변개가 유발하는 오해의 사례 129
3) 연구자의 오독이나 자의적 해석이 빚어내는 왜곡의 사례 130
제5장 금석문 자료의 사료 비판 133
1. 금석문 자료 활용에 있어서의 유의점 135
1) ‘동시성’의 적용 문제 135
2) ‘단편성’과 관련된 오해의 문제 140
2. 광개토왕릉비문의 사료 비판 143
1) 정복 활동 관련 서술에서 보이는 특징 143
2) 소위 ‘신묘년 기사’의 사료 비판 151
제Ⅱ부 • 사료 비판 각론 159
제1장 금석문 자료 활용 방식을 통해 본 《삼국유사》 수록 사료의 성격 161
1. 머리말 162
2. 《삼국유사》의 금석문 자료 활용에서 보이는 특징 163
3. 저술에 이용된 금석문 자료와 《삼국유사》에서의 선종 관련 서술 168
4. 현존 금석문 자료와의 대조를 통해 본 《삼국유사》 수록 사료의 성격 174
5. 맺음말 181
제2장 《삼국유사》 〈흥법〉편 ‘원종흥법 염촉멸신’조 고찰 183
1. 머리말 184
2. ‘원종흥법 염촉멸신’조의 내용 187
1) 서론 부분의 내용 검토 187
2) 본론 부분의 내용 검토 189
3) 결론 부분의 내용 검토 199
3. ‘원종흥법 염촉멸신’조 소재 협주의 검토 202
1) 인용형 협주의 검토 203
2) 설명형 협주의 검토 207
3) 고증형 협주의 검토 209
4. 맺음말 212
제3장 《진서》 모용황재기와 《자치통감》 진목제기 소재 ‘백제’ 관련 기사의 사료적 가치 215
1. 머리말 216
2. 사료에 보이는 ‘오기(誤記)’의 사례들과 ‘1차 사료’ 218
3. 《진서》 모용황재기 소재 봉유 상서문의 사료적 가치 225
4. 봉유 상서문과 부여 멸망 기사에 보이는 ‘백제’ 237
5. 맺음말 243
제4장 《양직공도》의 사료적 가치와 독법 245
1. 머리말 246
2. 양직공도의 백제 관련 기록의 검토 248
3. 양직공도의 신라 관련 기록의 검토 257
4. 맺음말 264
제5장 나제동맹의 결성 배경과 고구려의 대외 관계 267
1. 머리말 268
2. 《일본서기》 응신·인덕기 소재 고구려 관계 기사의 검토 271
3. 나제동맹 결성 전후 고구려의 대외 관계 281
4. 백제 및 신라의 대응과 나제동맹의 결성 292
5. 맺음말 296
참고문헌 297
찾아보기 302
저자소개
강종훈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