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현재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에 따른 평가 방법 및 방향을 제시하고, 최신 사회과의 활동 중심 수업과 평가 방법에 따른 이론, 실제 수업 상황과 다양한 평가 사례를 제시하여 초·중등 사회과 현장 교사뿐만 아니라 예비 교사 양성에 유용한 수업 교재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초판 발간 이후 자유학기제 수업과 평가와 관련된 내용의 추가 요청과 필요성이 대두되어 이를 10장으로 새롭게 구성하였으며, 초판의 부족한 부분을 좀 더 보강하여 2판을 발간하게 되었다.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최근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사회과 평가 방향 ··························9
1. 수업과 평가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변화 ··································11
2.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사회과 평가 방향 ································23
3. 사회과 학생 활동 중심 수업 ·············································30
4. 사회과 과정 중심 평가 ···················································40
제2장 최근 교육 이슈에 따른 사회과 평가 방법 ·······························53
1. 핵심역량을 반영한 사회과 평가 요소 ·····································55
2. 사회과 정의적 영역 평가 방법 ···········································60
3. 루브릭을 활용한 사회과 평가 방법 ·······································69
4. 사회과 수업과 피드백 ····················································77
제3장 사회과 글쓰기 수업과 평가 ···············································89
1. 글쓰기 수업과 평가에 대한 이론적 접근 ··································91
2.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상소문 쓰기 ·······················101
3. 나도 서평가! 사회 도서 읽고 서평 쓰기 활동 ···························114
제4장 사회과 토의·토론 수업과 평가 ·········································125
1. 토의ㆍ토론 수업과 평가에 대한 이론적 접근 ····························127
2. 함께 질문하는 하브루타식 토론 수업 ····································144
3. 월드카페를 활용한 토론 수업 ···········································152
제5장 사회과 프로젝트 수업과 평가 ···········································165
1. 프로젝트 수업과 평가에 대한 이론적 접근 ······························167
2. 역사 인물로 정부 구성하기 프로젝트 ····································178
3. 나는 노임팩트맨! 환경 실천 프로젝트 ···································192
제6장 사회과 창의성 신장 수업과 평가 ········································205
1. 창의성 신장 수업과 평가에 대한 이론적 접근 ···························207
2. 나는 발명가! 지속가능한 상품 설계 ·····································218
3.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의 여권 디자인 ·····································227
제7장 사회과 야외 학습 수업과 평가 ··········································239
1. 야외 학습 수업과 평가에 대한 이론적 접근 ·····························241
2. 우리 지역의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야외 학습 ························249
제8장 사회과 디지털 매체 활용 학습 수업과 평가 ····························265
1. 디지털 매체 활용 수업과 평가에 대한 이론적 접근 ······················267
2. 구글 카드보드 2.0을 이용한 기후ㆍ지형 관광지 탐구 ····················272
3. 코스페이시스(COSPACES) 활용 수업 ····································285
제9장 사회과 게임(놀이) 수업과 평가 ··········································293
1. 게임(놀이) 수업과 평가에 대한 이론적 접근 ·····························295
2. 신나는 전략 무역 게임 ··················································303
3. 지도 회상 게임을 활용한 위치 학습 ·····································313
제10장 자유학기제(학년제)에서의 수업과 평가 ································329
1. 자유학기제(학년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 ··································331
2. 자유학기 사회교과연계 주제선택 활동 ···································343
찾아보기 / 358
저자소개
대표 저자 임은진 선생님은 오랜 시간 동안 현장에서 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였고, 현재는 국립공주대학교 사범대학에서 미래의 사회(지리) 교사를 양성하고 있다. 최근에 교육부와 함께 사회(역사)영역 평가 방법 및 평가 모델 개발, 자유학기제 평가 매뉴얼 개발을 주도하였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교수·학습자료 개발, 평가 관련 교사 원격 연수 콘텐츠 개발에 참여하였다. 또한 교육부 사회과교육 과정 심의위원, 사회 교과서 검정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동균 선생님은 서울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면서, 사범대와 교대에서 예비 교사를 양성하고 있다. 2009 개정 사회과 교과용도서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2015 개정 사회과 교과용도서 개발 연구진과 집필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학생 성장을 위한 평가시스템 개선 및 평가모델 개발, 평가 관련 교사 원격 연수 콘텐츠 개발 등의 연구에도 참여하였으며, 사회과 수업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실천을 계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김원예 선생님은 현재 서울 소재 중학교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교수·학습자료 개발 집필진으로 활동하였다. 학생들에게 의미 있고 즐거운 사회 수업을 꿈꾸며 이에 대한 답을 현장에서 찾고자 노력하며 실천하고 있다. 사회 수업을 통해 세상과 접속하고 삶이 성장되는 교육을 지향하며 학생들과 관계맺고 함께 성장하고 있다.
서지연 선생님은 현재 경기도 소재 중학교에 근무하고 있으며, 교육부 사회과교육과정 심의 위원,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교수·학습자료 개발 집필진 및 교사 연수 선도 위원, 경기도교육청 중등 교육과정 핵심요원 및 교사 연수 강사, 경기도 수업비평연구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사회과 활동 중심 수업 실천에 대한 행복한 도전을 계속하고 있다.
조경철 선생님은 현재 서울 소재 중학교에서 근무하면서 ‘연구하는 교사, 실천하는 교사’라는 모토 아래 ‘어떻게 하면 사회 수업을 재미있고 유익하게 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계속해오고 있다. 학생 성장을 위한 평가시스템 개선 및 평가모델 개발연구에 참여하였고, 최근 사회과 평가에 대한 온라인 교사 연수와 일반 연수에서 대표 강사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