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베트남 사회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현지관찰과 면담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현지인의 입장에서 현지문화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무엇보다도 베트남 사회와 베트남인에 대한 사랑의 시선을 갖도록 하는 데 노력하였다. 2019년 연구년을 맞이하여 2월에서 5월 동안에 걸쳐 호치민 현지에 체류하면서 관련되는 여러 전문가를 만났으며, 그리고 현장방문과 답사의 과정을 거쳤다. 한국에서 파견된 몇몇 기관의 주재원들과 현지기업인들을 만났으며, 또 호치민 소재 대학에 적을 둔 여러 명의 교직원과 학생들을 두루 만날 수 있었다. 이 책을 통해 어떻게 하면 베트남 사회를 좀 더 잘 이해할 것인가에 관심을 두고 다양한 측면에서 베트남 사회에 접근하려 하였다. 기업인을 비롯한 많은 한국인들이 베트남을 찾는 이유가 무엇이며, 또 왜 베트남의 수많은 사람들도 한국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고 한국 문화를 좋아하는지에 대해 밝히려 하였다. 다시 말해, 이 책을 통해 어떻게 하면 베트남 사회를 사랑과 애정의 눈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인가를 다각도의 측면에서 모색하여 베트남 사회를 바라보는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목차
┃프롤로그┃ 3
제1장 호치민 경제현황과 과제 11
1. 한국 기업가가 바라본 베트남 경제 13
2. 호치민 경제, 날개를 달다 26
3. 호치민의 신흥부촌, 푸미흥과 랜드마크 81 29
4. 서비스 산업이 베트남경제를 이끌다 36
5. 베트남에서 경제윤리학 전공자를 만나다 40
6. 한국인의 눈에 비친 베트남 기업문화 43
제2장 베트남, 사회문화의 특징 51
1. 베트남, 사회통합은 어떤 모습인가 53
2. 빈부격차, 어떻게 볼 것인가 57
3. 서로 다른 세상, 함께 공존하다 60
4. 베트남식 사회질서구조를 다시 생각하다 63
5. 중간층, 어떻게 살릴 것인가 68
6. 베트남, 문화적 지능은 어떤 의미인가 74
7. 호치민에서 중산층을 만나다 79
8. 젠더의식에 변화가 일고 있다 83
9. 베트남 젊은이들, 한류에 열광하다 87
10. 베트남, 기능주의 사회이다 93
11. 관계성의 의미를 새롭게 보다 95
제3장 베트남, 가족과 농촌사회 101
1. 가정에 최우선 가치를 두다 103
2. 가족관계, 친구관계, 이웃관계 107
3. 베트남 농촌마을을 체험하다 112
4. 농촌혁신가를 만나다 115
5. 한국-베트남, 농촌사회를 비교하다 120
6. 베트남 학자가 바라본 한국사회학 스케치 125
제4장 베트남, 학교교육의 현안과 전망 131
1. 아이 키우기 좋은 나라 133
2. 교육에 올인하다 140
3. 대학교육, 어떤 모습인가 144
4. 인문학 정신이 살아있다 151
5. 기술교육은 어떤 모습인가? 155
6. 대학생 창업교육이 활발하다 159
7. 호치민에서 한국교육을 만나다 167
8. 시민교육에 대해 생각하다 173
9. 베트남 대학, 사회학 교육은 어떤 모습인가 177
10. 베트남 교육, 현안과 과제는 무엇인가 181
제5장 한국-베트남, 대학생과 청년문화 187
1. 소풍을 통해 바라본 대학생의 삶 189
2. 한국 젊은이, 호치민 체류이야기 199
3. 베트남 대학생의 시각에 비친 한국사회 208
4. 세계여성의 날 행사: 동료애가 빛나다 211
5. 동성연애, 어떻게 볼 것인가 216
제6장 베트남, 전통의 의미 221
1. 베트남, 전통은 어떤 의미인가 223
2. 전통이 미래자산이 되다 228
3. 프랑스를 포용하다 232
4. 식민유산, 관광자원화하다 236
5. 중국, 애증이 엇갈리다 240
6. 종교기관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보다 244
제7장 베트남, 노인과 복지사회 251
1. 베트남, 노인사회가 도래하다 253
2. 베트남, 노인건강과 현황 260
3. 복지기관, 너싱홈을 찾다 265
4. 신 라이따이한,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270
5. 복지사회를 준비하다 272
6. 베트남, 여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77
7. 베트남 문화, 세대 간 대화가 돋보이다 281
┃에필로그┃ 287
┃참고문헌┃ 297
저자소개
정용교
현재 영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세계화 시대 다문화현상과 국제교류협력을 시민교육 차원에서 바라보고 풀어내는 데 관심이 많다. 주요 저서로는 『세계 시민교육』, 『지역사회 캡스톤디자인』, 『우리교육의 현실과 청소년 문화』, 『사회과교육의 실천과 대안』(공저), 『한국사회 다문화현상의 이해』(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