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을 하려면 먼저 자신이 정답을 알고 있다고 믿지 않아야 합니다. 자신은 공동으로 당면한 문제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불완전한 해답을 가지고 있을 뿐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그 점은 상대도 또한 마찬가지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토론의 과정을 거쳐서 서로의 해답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보완함으로써 더 나은 해답을 함께 찾아갈 뿐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상대는 그 해답을 함께 찾아가는 동반자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토론을 ‘잘’ 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3
제1부_ 토론을 어떻게 할까? 13
제1장 지는 것이 잘 하는 것이다 15
1. 토론이 필요한 사회 17
2. 토론에서 이기고 친구를 잃는다 21
제2장 정답이 없으니 토론한다 25
1. 토론이 필요 없는 사회 27
2. 신은 인간과 토론하지 않는다 28
제3장 토론은 사고다 33
1. 토론의 조건 35
2. 토론의 초점 37
3. 토론의 방식 40
4. 토론의 전개 41
제4장 공부가 토론 공부다 45
1. 토론 교육 프로그램? 47
2. 토론을 위한 공부 50
3. 토론할 수 없는 학교 53
제5장 공부는 질문하기다 57
1. 지식을 생산하는 공부 60
2. 대학원 공부의 구성 62
3. 내 질문 갖기 66
4. 먼저 이해하기 67
제6장 수련(修練)해야 토론한다 71
1. 나만을 위해서 질문하기 73
2. 발표자를 고려하여 질문하기 76
3. 청중을 위해서 질문하기 79
4. 질문하지 않고 질문하기 82
5. 대화로서 질문하기 89
6. 글로 토론하기 104
제7장 필요해야 토론한다 115
1. 일상에서 토론 공부하기 118
2. 학교에서 토론 공부하기 124
제8장 토론은 마음 공부다 135
┃참고 문헌┃ 142
제2부_ 토론문을 어떻게 쓸까? 143
제1장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45
1-1. 토론문이란 무엇인가? 147
2-1. 교육인류학의 맥락 150
3-1. 황해도 강신무의 세계 153
3-2. 황해도 강신무 세계에서의 교육 155
2-2. 교육인류학의 과제 158
1-2. 매개로서의 삶 160
제2장 교사로서 산다는 것 163
┃참고 문헌┃ 174
제3장 예술로서의 수업, 그 가능성과 과제 175
1. 도구로서의 수업 177
2. 예술로서의 수업 180
3. 예술로서의 수업의 과제 183
제4장 국어과 수업의 문제: 교과서와 교사 187
제5장 해석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교사의 수업 능력 195
제6장 “친상황성의 맥락주의적 해석”에 대한 토론 209
제7장 “네 학교 이야기”에 대한 네 가지 이야기: 모더니스트의 포스트모던 글 읽기 217
1. “네 학교 이야기” 219
2. 나의 네 가지 이야기 231
3. 다시 생각하는 교육인류학 247
┃참고 문헌┃ 254
제8장 “배움의 공동체”는 학교 혁신의 길이 될 수 있는가? 255
1. 한국 학교 교육의 현실 259
2. 한국의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시도와 한계 261
3. 대안적 접근의 모색 265
4. “배움의 공동체”와 존 듀이 268
5. “배움의 공동체”의 타당성 272
6. “배움의 공동체”가 한국의 학교 혁신에 주는 시사점 277
제9장 “배움 중심 수업?”을 실현하려면 285
1. “배움 중심 수업”이란? 288
2. “배움의 공동체 수업”은 아니다 290
3. 오해되지 않으려면? 294
4. ‘배움 중심 수업’을 실현하려면 296
┃참고 문헌┃ 300
제10장 “배움 중심 수업”을 버려야 ‘배움 중심 수업’이 산다 301
1. 세 번째 인연 303
2. “배움 중심 수업 2.0”의 구성과 의의 310
3. “배움 중심 수업 2.0”과 학생의 관점 313
4. “배움 중심 수업”을 버려야 317
5. ‘배움 중심 수업’을 하려면 325
┃참고 문헌┃ 331
제11장 지역은 교육 혁신의 블루오션인가? 333
1. 교육 혁신의 블루오션 335
2. 블루오션 속의 레드오션 340
3. 레드오션 속의 블루오션 353
찾아보기 361
저자소개
서근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교육학 심화 과정) 졸업
서울 무학, 구암, 대림초등학교 교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졸업(교육인류학 전공)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졸업(교육인류학 전공)
서울교육대학교 박사후 연수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중앙대학교, 건국대학교, 세종대학교, 가톨릭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강사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자문위원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대우)
청주교육대학교 연구교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직부 조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현재)
주요 저서
수업을 왜 하지?(2003, 우리교육)
수업에서의 소외와 실존(2009, 교육과학사)
학교 혁신의 길: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2012, 강현출판사)
학교 혁신의 패러독스: 교민(敎民)에서 회인(誨人)으로(2012, 강현출판사)
해석주의 교육사회학 탐구 (1)(2012, 강현출판사)
나를 비운 그 자리에 아이들을(2012, 교육과학사)
공동체는 어디에 있을까?: 우리 시대의 삶과 문화와 교육, 그리고 질적 연구(2013, 교육과학사)
수업, 어떻게 볼까?: 아이의 눈을 찾아서(2013, 교육과학사)
풀뿌리 교육론: 교육과정과 수업, 그리고(2016, 교육과학사)
수업 이해하기: 교육과정과 교사의 딜레마(2018,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