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산업의 새로운 물결에서 우리는 새로운 교육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기존의 교육 체계의 문제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해야 할 시점이다. 지식을 암기하고 주입하는 교육이 아니라 사고력, 창의력, 문제 해결력을 기르는 쪽으로 교육의 방향을 과감하게 혁신해야 한다. 급속한 사회의 변화에서 미래를 예측하기 힘든 시대에 교육에서 길러야 할 인간상은 창의적이고 인성을 갖춘 창의 융합 인재일 것이다.
목차
서 문
『전통미술의 감상과 교육』을 발간하면서 3
Chapter_ 1┃전통미술의 특성과 통합적인 교육의 방향 9
1. 전통미술은 왜 낯설까? 11
2. 전통미술의 개념과 특성 12
3. 통합적인 전통미술교육의 방향 27
4. 문화교육으로서 전통미술교육 40
5. 참고문헌 42
Chapter_ 2┃한국의 전통 건축 45
Ⅰ. 전통 건축의 이해 48
1. 전통 건축의 특징 48
2. 전통 건축의 형성 배경 50
3. 건물의 위계 52
4. 전통 건축의 구조와 양식 54
5. 전통 건축의 공간 59
6. 전통 건축의 미의식 61
7. 조선 시대 건축의 자연주의 미학 65
Ⅱ. 전통건축의 감상 68
1. 미술 감상 관점과 방법 68
2. 전통 건축 감상 방법 69
3. 전통 건축의 감상 75
4. 대표작품 감상 88
5. 탐색 문제 96
6. 더 읽을 거리 99
7. 참고문헌 100
Chapter_ 3┃ 서예, 글씨 예술의 이해 103
Ⅰ. 서예 이해의 길잡이 105
1. 서예는 어떤 예술인가 105
2. 중국 서예의 이해 119
3. 한국 서예사 126
4. 한글 서예 137
5. 탐색문제 143
6. 더 읽을 거리 145
7. 참고문헌 145
Chapter_ 4┃ 사군자(四君子) 147
1. 사군자의 개념과 특성 149
2. 사군자의 역사 152
3. 사군자의 감상 155
4. 대표작품 읽기 157
5. 탐색문제 163
6. 더 읽을 거리 164
7. 맺는 글 166
8. 참고문헌 166
Chapter_ 5┃ 화조화의 이해와 감상 교육 167
1. 화조화의 개념과 성격 169
2. 화조화의 역사 172
3. 화조화의 감상 181
4. 화조화 대표 작품 읽기/ 김홍도의 <황묘농접> 188
5. 탐색 문제 192
6. 더 읽을 거리 193
7. 참고문헌 및 사이트 194
Chapter_6┃ 민화 197
1. 민화의 개념과 성격 199
2. 민화의 역사 202
3. 민화의 감상 205
4. 대표작품 읽기 223
5. 탐색문제 230
6. 더 읽을 거리 232
7. 참고문헌 236
Chapter_7┃ 토기 237
1. 토기의 개념과 성격 239
2. 토기의 역사 241
3. 토기 감상 259
4. 대표작품 읽기 272
5. 탐색문제 275
6. 더 읽을 거리 277
7. 참고문헌 278
Chapter_8┃ 소박하고 실용적인 분청사기 281
1. 분청사기의 개념과 특징 284
2. 분청사기의 변천과 종류 285
3. 분청사기의 조형적 특징 292
4. 분청사기 읽기 295
5. 탐색문제 298
6. 더 읽을 거리 300
7. 참고문헌 301
Chapter_9┃ 전통 염색의 이해 303
1. 전통염색의 개념과 성격 305
2. 전통염색의 역사 306
3. 대표적인 전통 염재 및 염색 방법 308
4. 전통염색의 의미 및 전통염색 교육 321
5. 탐색문제 324
6. 더 읽을 거리 324
7. 참고문헌 325
Chapter_10┃ 금속공예 2 327
1. 금속공예의 정의 및 특성 330
2. 금속공예의 역사 335
3. 금속공예 주요 작품 감상 339
4. 대표작품 읽기, <물가 풍경 무늬 정병> 358
5. 탐색문제: 작품 읽기를 위한 교사의 핵심 발문 364
6. 더 읽을 거리 366
7. 참고문헌 368
Chapter_11┃ 석조미술(탑, 석등, 부도, 비) 369
1. 석조미술의 정의 및 특성 371
2. 석조유물의 시대적 배경 및 역사적 맥락 379
3. 석조미술의 대표 작품 감상 391
4. 석조미술의 감상과 비평 396
5. 탐색문제 399
6. 참고문헌 400
찾아보기 402
저자소개
이성도(한국교원대학교)
이성도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전통미술문화교육』, 『미술교육과 문화』, 『미술교육의 이해와 방법』, 『한국마애불의 조형성』, 『우리미술의 감상과 교육』 등 여러 책과 「한국 전통건축 감상방법 연구」, 「미술교육에서 심미적 인간 연구」, 「한국 전통건축의 자연주의 미학에 관한 연구」, 「한국 근대미술교육의 형성과 고찰」 등 여러 논문이 있다.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전성수(전 부천대학교)
전성수는 서울교육대학교와 서울대 대학원, 한국교원 대학원을 졸업하고 홍익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교과교육학 & 미술교육학’, ‘재미있는 미술 감상 수업’, ‘함께 배우는 우리미술’, ‘어린이를 위한 디자인 수업’,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술교육’ 등의 저역서와 ‘뇌에 기반한 심리형성의 메커니즘과 미술의 치료적 의미’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신영호(경북대학교)
신영호는 서울대학교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북경중앙미술학원(CAFA)에서 <서예와 회화 비교연구>분야로 미술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번역서로 구진중 선생의 현대서예비평과 이론에 대한 책 <신은 어디에 있는가神居何所>가 있다. 또한 우한수묵비엔날레와 전남수묵비엔날레, 아시아 아프리카 지중해 현대미술전에 참가하는 등 창작과 연구를 함께 진행하고 있다. 현재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부교수이다.
이인숙(경북대학교)
이인숙은 영남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미학미술사학과)와 박사학위(한국학과)를 받았다. 석사논문은 「판교 정섭의 회화세계와 우리나라 서화계에 끼친 영향」이며, 박사논문은 「정조의 시서화 연구: 국왕 문예의 정치성과 심미성」이다. 조선시대와 근현대기 수묵화와 서예, 전각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며 40여 편의 논문과 저서 『석재 서병오 필묵에 정을 담다』를 썼다. 현재 경북대학교 외래교수이다.
김향미(숙명여자대학교)
김향미는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히로시마대학교에서 미술교육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술교육으로 삶·사회 가로지르기>, <초등미술교육의 교수학습 이론과 방법>, <미술교육의 기초>, <꼭 읽어야 할 한국 미술교육 40선>, <敎育におけるグローバル化と伝統文化>, <美術科敎育の基礎知識>, <圖畵工作·美術科重要用語300の基礎知識> 등의 공저와 여러 편의 논문이 있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이다.
장지성(전주교육대학교)
장지성은 서울대학교 동양화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 석사를 거쳐,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조선 중기 화조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통 미술 교육과 한국 미술사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였으며, 미술 작품 전시회에도 꾸준하게 참여하고 있다. 현재 전주교육대학교 교수이며 간송미술관 연구원이다.
박소영(홍익대학교)
박소영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1897-1945) 미술교육에서의 용기화(用器畵) 교육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술교육의 기초』, 『미술교육으로 삶·사회 가로지르기』(공저)와 「대학교양교육으로서 한국화실기수업의 가능성: 수묵화를 중심으로」, 「인구교육의 일환으로서 다문화 이해를 위한 벽화제작 프로젝트 사례연구」, 「전통미술에 기반을 둔 주제중심 예술통합교육 프로그램 연구」 외 다수의 논문이 있으며, 미술 작품 전시회에도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초빙교수이다.
모인순(남서울대학교)
모인순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 동 대학원 도자공예를 졸업하고,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인지발달과 지식확장을 위한 한국의 대학 도자교육과정 모색』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저서로 『점토혁명-예술언어로의 전환』, 연구용역으로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공예』, 논문으로 「타일의 3차 소성 재료와 디자인」, 「도자역사의 변증법적 전개에 관한 연구」 등 다수가 있다. 현재 남서울대학교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교수이다.
류재만(서울교육대학교)
류재만은 서울교육대학교와 한양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술교육학』과 『초등 미술과 교수법』, 『미술교육이론과 사상』, 『재미있는 미술 감상 수업』, 『미술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등의 저서와 미술과 감상교육과 전통미술교육 분야에서 여러 편의 논문이 있다.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이다.
고홍규(서울교육대학교)
고홍규는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펜실베니아주립대학 대학원에서 미술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술교육학』, 『미술교육으로 삶, 사회 가로지르기』, 『우리미술의 감상과 교육』, 『미술교육의 기초』 등의 공저 외 미술교육, 미술이론 분야의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다.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조교수이다.
손명선(인천시 초등교사)
손명선은 경인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에서 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통미술문화교육』, 『레지오 에밀리아와의 대화』 등의 공저 및 역저가 있고, 2015 개정교육과정 지학사 미술교과서(3,4학년) 공동 집필에 참여하였다. 현재, 인천시교육청 소속 초등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심영옥(경희대학교)
심영옥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동 대학원 미술이론전공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학과 미술사전공에서 <한국 근대 초등미술교육 변천사 연구>로 문학박사를 취득하였다. 『한국미술사를 보다』(1,2권), 『한국의 아름다움과 그 의미』 , 『영유아동 미술교육론』의 저서와 『미술교육과정의 이해』, 『미술교육의 기초』 등 공저 외 미술사, 미술교육 분야의 여러 논문이 있다. 현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