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내 몸에 깊이 스며져 있던 오랜 문제 의식은 20세기 초 서구 유럽의 지성사를 뒤흔든 인간 실존의 문제에 꽂혀 있었다. 그것은 바로 ‘근대적 인간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절대적) 신 혹은 (신성한) 전통적 질서가 사라진 세속화된 세상에서 한 사람의 ‘인간’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실존적 문제 말이다. 필자는 ‘전근대적인’ 에토스의 ‘근대’ 학교에서 성장하고 교육받으며, 정확히 그 의미도 모른 채 막연히 근대적 질서와 자유를 남몰래 꿈꾸었던 것 같다. 그런데 ‘나에게’ 그리고 ‘한 사람의 인간에게’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는 것은 우리 각자가 매 순간 부딪혀야 하는 매우 어려운 실존적 과업이라는 사실은 근대 철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면서 뒤늦게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을 알아가는 과정 자체가 ‘근대적 정신’의 일부분일지도 모른다는 사실도 나중에 알게 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근대적 의미로 한 사람의 인간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탐색하는 나의 내면의 여정을 교육적 경험과 교육학적 언어를 통해 설명하는 해설서라고 말할 수 있을지 모른다. 근대적 인간이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을 넘어선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한 가지 해설서 말이다.
목차
□ 머리말 … 3
제1장 서론: 후기근대적 교육 패러다임에서의 교육적 관계 및 교사 역할의 중요성•13
제2장 자기관계의 형성으로서 ‘개별화’를 위한 교육적 관계: 파머와 릴케•33
1. 서론: 학생과 교과, 이중의 매개적 역할 _ 35
2. 오늘날 교사에게 요구되는 ‘자아의식의 발휘’: 파머 _ 37
3. 자기자신과 관계 맺는 법을 배우게 하는 교육적 관계: 릴케와 카푸스 _ 55
4. 결론: 이중적 층위의 교육적 관계? _ 85
제3장 근대 교육에서 사회화와 개별화의 내적 관련성: 뒤르켐 I•91
1. 서론: 근대 교육에서 인성 및 도덕성 교육의 문제 _ 93
2. 합리주의 교육의 목적으로서 사회적 마음과 개인의 자율성: 역설적인 내적 연결 _ 99
1) 뒤르켐 도덕교육론의 핵심 과제 _ 99
2) 합리주의적 도덕성과 핵심적 요소들 _ 109
3. 결론: 합리적 개인성의 조건으로서 도덕성 _ 139
제4장 근대 교사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성찰: 뒤르켐 II• 143
1. 서론: 교육의 목적으로서 ‘도덕적 개인주의’의 가능성, 그리고 교사의 역할 _ 145
2. 근대 학교에서 교사의 역할 _ 150
1) 훈육에서 교사의 역할 _ 151
2) 처벌의 교육적 의미와 교사의 역할 _ 165
3) 처벌과 체벌의 교육적 의미에서의 차이: 교사 ‘권력’의 시작 _ 173
4) 사회성을 위한 교육에서 이기주의와 이타주의 _ 185
3. 결론: 합리적 사회화와 근대적 교사의 한계 _ 192
제5장 서구 근대 교육에 대한 급진적 비판: 랑시에르 I•199
1. 서론: 서구 근대 교육의 진보주의적 이념, 정확히 무엇이 문제인가? _ 201
2. 설명자의 ‘바보 만들기’ 교육과 우월한 열등자들의 무시의 사회 _ 206
3. 근대 진보주의 교육론의 오류 _ 222
4. 결론: 후기근대 사회에서 해방 교육학의 전망 _ 245
제6장 새로운 지적 해방 교육의 원리로서 ‘보편적 가르침’: 랑시에르 II _ 249
1. 서론: 일치 모델의 대안으로서 불일치의 교육 모델 _ 251
2. 지적 해방 교육의 실제: ‘번역’을 통한 보편적 가르침 _ 256
1) 새로운 논리의 해방 교육의 목적 _ 258
2) 지적 해방 교육의 교수-학습의 원리로서 ‘보편적 가르침’ _ 261
3) 지적 해방 교육의 매개로서 책과 사물의 교육적 지위 _ 279
4) 지적 해방 교육에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 _ 285
3. 사회적 해방으로서 “감성적인 것의 분배”와 표현적/수행적 언어의 중요성 _ 296
4. 결론: 성인과 아이의 새로운 교육적 관계 탐색을 위한 출발_ 304
제7장 교사의 이중적 역할과 교육적 권위: 아렌트와 비에스타•309
1. 서론: 후기근대 교사의 이중적 역할: 탄생성과 세계성 사이에서 _ 311
2. 비에스타의 아렌트 비판: ‘교육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의 구분 _ 318
3. 교과와의 관계에서 교사의 역할: ‘지능의 평등’에서 ‘존재의 공존’으로 _ 339
4. 결론: 교육적 사유의 정치적 사유에의 우선성 _ 358
제8장 결론: 후기근대 교육 패러다임에서의 교육적 관계와 가르침의 가능 조건 •365
■ 참고문헌 / 381
■ 찾아보기 / 387
저자소개
곽덕주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이자 서울대 교육연구소 소장이다. 2021년부터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으로 봉사하고 있기도 하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Teachers college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요 관심사는 동서양 비교교육철학, 교사교육철학, 예술교육철학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미적체험과 예술교육』(2013, 공저), Confucian Perspectives on Learning and Self-transformation: International and Crosscultural Approaches(2020, 공동편저), 『코로나 이후 교육을 말하다』(2021, 공저) 등이 있다.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