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 책은 교사들이 생성형 AI를 활용해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 수업을 바로 실행하는 데 길잡이 역할을 하고자 합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입니다.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른 디지털 전환, 감염병 대유행 및 기후ㆍ생태환경 변화를 비롯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문제가 개정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있습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미래 사회의 불확실성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개방적ㆍ포용적 가치와 태도로 지속 가능한 발전에 적극적이고 책임감 있게 참여하여, 자신의 삶과 학습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핵심 역량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취지를 반영해 고등학교 사회탐구 영역에서는 <기후변화와 지속 가능한 세계>, 과학탐구 영역에서는 <기후변화와 생태환경>이라는 새로운 과목이 신설되었습니다. 또한,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미술, 정보, 진로 등 전 교과의 교육과정 내용에서 지속가능발전 문제를 중요한 주제로 다루도록 하고 있습니다.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는 최적의 교수법으로 프로젝트 수업 방법을 선정했습니다.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지속가능발전’을 키워드로 개인, 사회, 국제적인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를 분석하고,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하며 실천 방안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성형 AI를 활용해 기후변화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한다면 학생들의 실천적인 문제해결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협력과 소통 역량도 함께 기를 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단순히 지식만 배우는 것을 넘어, 지속가능한 삶의 가치를 지향해 가는 주체적인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왜 ‘지속가능발전교육’인가
제2장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모든 것
제3장 AI로 프로젝트 수업 준비
제4장 AI 프로젝트 수업 실천
제5장 사회영역: ‘한 권 읽기’와 지속가능발전목표 실천 프로젝트
제6장 경제 영역: 생성형 AI 활용 진로 연계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제7장 환경영역: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서식지 보호 프로젝트
제8장 사회ㆍ경제 통합 영역① : 지역설화를 활용한 지역 홍보물 제작 프로젝트
제9장 사회ㆍ경제 통합 영역② : 지속 가능한 문화유산 디지털 복원 프로젝트
제10장 사회ㆍ경제ㆍ환경 통합 영역① :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발전을 위한 사회문제 탐구 프로젝트
제11장 사회ㆍ경제ㆍ환경 통합 영역② : 공공의 가치를 실현하는 진로 개발 프로젝트
부록1 : 교과ㆍ영역별 교육과정 분석도
부록2 : 교과ㆍ영역별 프로젝트 개요
에필로그
참고문헌
저자소개
• 박길자
(현) 한국교육나눔연구소 이사
(전) 대구대학교 겸임교수(교육학박사), 고등학교 수석교사, ‘한국사회의 이해’ 교과서 집필 위원장, 교육과정·수업·평가 일관성 지원단 단장, 실용 경제 수업 콘텐츠 개발 연구 책임자
저서: 생성형 AI 기반 CBL 수업의 이해와 실제(공저) 등 총 13권(2025월 4월 기준)
• 정보배
(현) 부산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부산대학교 대학원(국어교육학박사)
(전) 부산광역시교육청 소속 국어교사(2008.3.∼2021.8.)
저서: 블렌디드 러닝 기반 PBL 수업의 이해와 실제(공저), 생성형 AI 기반 CBL 수업의 이해와 실제(공저)
• 심은희
(현) 부산 연제고등학교 영어교사, 수업과성장연구소 펠로우, 함께교육(구 한국협동학습연구회) 회원
저서: 생성형 AI 기반 CBL 수업의 이해와 실제(공저)
• 김재우
(현) 부산 삼정고등학교 교사
(전) 부산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육연구회 회원, 부산 정보윤리교육 연구회 회장, 부산 고등(정보)디지털 기반 수업혁신 역량 강화, 직무연수 리더 교사 팀장
저서: 생성형 AI 기반 CBL 수업의 이해와 실제(공저), 모두의 빅데이터
• 송혜진
(현) 정관고등학교 수석교사, 부산시 중등 수석교사, 부산광역시 고교 교사 연수 강사 및 자료 개발 위원
저서: 블렌디드 러닝 기반 PBL 수업의 이해와 실제(공저), 생성형 AI기반 CBL 수업의 이해와 실제(공저)
• 박해원
(현) 한국조형예술고등학교 수석교사,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개발 검토위원, 부산수업평가지원센터 교육과정·수업·평가 일관성 지원단, 부산미래교육원 AI교육 선도지원단 연구위원
저서: 미술수업 새로고침(공저), 생성형 AI 기반 CBL 수업의 이해와 실제(공저) 등 총 11권(2025월 4월 기준)
• 장영주
(현) 동아고등학교 수석교사, 2022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개발연구위원, 부산광역시교육청 진학전문위원,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상담위원, 동아대학교 겸임교수(교육학박사)
저서: 생성형 AI 기반 CBL 수업의 이해와 실제(공저)
• 최상희
(현) 경향신문사 편집국 부장, 한국신문협회 NIE 한국위원회 위원
(전) 경인교대 겸임교수, 인하대 겸임교수,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대학종합평가 평가위원
저서: 디지털시대 NIE 이해와 활용, 교과서에도 실린 나만의 메모짱 등 총 66권(2025월 4월 기준)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