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울가로 물러난 퇴계 > 교육사,교육철학/교육사상/도덕교육

본문 바로가기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개울가로 물러난 퇴계 > 교육사,교육철학/교육사상/도덕교육
메인으로

개울가로 물러난 퇴계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사용후기 0 개
위시리스트0
판매가격 27,000원
저자 이동원
발행일 2025-11-25
ISBN 978-89-254-1955-8(03370)
페이지 496
판형 신국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개울가로 물러난 퇴계
    +0원
위시리스트
  • 상품 정보

    도서소개

    퇴계는 어떻게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큰 스승이자 학자로 우뚝 설 수 있었을까? 높은 봉우리 같은 학문과 난초 향기 같은 인품, 높은 벼슬은 한사코 거절하는 공직관, 사화와 권력의 횡포에도 화를 피한 처세관, 토론과 만학의 아버지, 끊임없는 자기반성과 제자 교육 등 모든 면에서 조선시대에는 물론 오늘날까지도 존경받는 인물로 남아있는 퇴계, 그는 과연 어떤 인물인가? 어떻게 살았을까?

    이 책은 바로 위와 같은 질문에 답하고자 엮은 것이다. 퇴계가 자란 환경이 결코 요즘 젊은 세대에서 말하는 헬 환경, 이생망으로 자조할 정도까지는 아니었지만, 당시 어려운 악조건에서도 우뚝 설 수 있었던 까닭에 대해 심해의 바닥까지 한번 알고 싶었다. 이런 이유로 이 책에서는 퇴계의 모든 분야들 중에서 일상의 소소한 스토리를 중심 내용으로 삼고자 하였다. 독자는 학생들과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내용은 기초적이고 개략적인 수준이다. 또한, 깊은 학문보다 고고한 인품을 들여다보고 싶었다. 그리고 내용 하나하나마다 관련 자료를 찾아 객관적인 사실 기록에 노력하였다.

    목차

    머리말 3


    제1부. 퇴계, 200 문답으로 찾아가다 15


    제1장. 도산에 샛별 떠오르다 17


    1. 출생과 가계 17

    (1) 퇴계 선생은 언제, 어디에서 태어났는가 17

    (2) 퇴계의 시조와 조상 계보는 어떻게 되는가 18

    (3) 퇴계의 조부는 어떤 분인가 19

    (4) 퇴계의 아버지는 어떤 분인가 20

    (5) 퇴계 형제, 남매들의 이름은 무엇인가 21

    (6) 퇴계의 어머니 춘천 박씨는 어떤 분인가 22

    (7) 퇴계는 어머니께 어떻게 대하였는가 23

    (8) 퇴계의 어머니는 자식들을 어떻게 가르쳤는가 25

    (9) 퇴계의 아명, 관명, 호, 자, 시호는 무엇인가 27

    (10) 퇴계가 태어난 집은 언제, 누가 지었는가 28

    (11) 퇴계가 태어난 집이 명당이라고 하는데, 왜 그런가 29

    (12) 퇴계의 본관은 진보인데 왜 진성이씨로 쓰는가 29

    (13) 진성이씨에서 진성은 어떤 의미인가 31


    2. 성장과 공부 32

    (14) 퇴계는 몇 세에 공부를 시작하였는가 32

    (15) 퇴계는 어릴 때, 누구에게 배웠는가 33

    (16) 퇴계는 주로 어디에서 공부를 하였는가 34

    (17) 퇴계의 어릴 때, 공부하는 모습은 어떠하였는가 35

    (18) 어릴 때, 형제 우애와 어른 대하는 자세는 어떠하였는가 36


    3. 결혼과 가정 37

    (19) 퇴계는 누구와 결혼하였으며, 아들과 손자는 누구인가 37

    (20) 허씨 부인은 언제 사망하였는가 39

    (21) 퇴계는 허씨 부인에게 어떻게 대하였는가 39

    (22) 퇴계는 언제, 누구와 재혼하였으며, 자식은 몇인가 40

    (23) 퇴계는 정신이 온전치 못했던 둘째 부인을 어떻게 대하였는가 41

    (24) 권씨 부인이 정신이 온전하지 못한 것이 사실인가 43

    (25) 권씨 부인은 어떻게 퇴계 선생과 결혼하였는가 44

    (26) 퇴계에게 측실 부인이 있었는가 46

    (27) 둘째 아들 채는 결혼하였는가 47

    (28) 퇴계 선생의 가족 관계는 어떠한가 48


    4. 재산과 노비 49

    (29) 퇴계가 첫 결혼 후 분가할 때, 재산은 얼마나 받았는가 49

    (30) 퇴계 선생의 노후 재산은 어떠한가 49

    (31) 퇴계에게 노비는 몇 명이 있었는가 50

    (32) 퇴계의 재산 형성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52

    (33) 퇴계는 가사와 가정 경제에 어떻게 대처하였는가 52


    제2장. 뜻을 펼치다 55


    5. 과거 시험 55

    (34) 퇴계는 몇 세에 대과급제 하였는가 55

    (35) 시험 문제와 동반 급제자는 누구인가 56

    (36) 퇴계는 과거 시험을 몇 회 보았는가 56

    (37) 퇴계는 과거에 떨어진 적이 있는가 58

    (38) 퇴계가 과거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58

    (39) 과거에 대한 퇴계 선생의 입장은 무엇인가 60


    6. 벼슬살이와 진퇴 62

    (40) 퇴계가 과거 시험에 합격한 후 첫 발령받은 관직은 무엇인가 62

    (41) 왜 퇴계는 첫 발령에서 좌천과 강등을 당하였는가 63

    (42) 대사헌이 왜 미관말직인 퇴계의 사관 임명을 막으려 하였는가 63

    (43) 퇴계의 초기 10년간의 벼슬길은 어떠하였는가 64

    (44) 퇴계의 43세 이후 주요 관직 이력은 어떠한가 69

    (45) 퇴계의 관직 생활 중 지방 출장은 몇 회인가 70

    (46) 퇴계가 충청도 재해 시찰을 다녀와서 어떤 보고를 하였는가 71

    (47) 퇴계의 첫 사직과 본격적인 사직은 언제부터인가 73

    (48) 퇴계는 왜 단양 군수로 내려왔는가 74

    (49) 퇴계는 단양 군수로 얼마나 근무하였는가 75

    (50) 퇴계는 왜 풍기 군수로 옮겼으며, 얼마나 근무하였는가 76

    (51) 퇴계는 판서 벼슬을 하였는가 77

    (52) 퇴계의 관료 생활 중 휴가는 몇 회였는가 81

    (53) 퇴계가 선조 임금에게 올린 무진육조소는 무엇인가 82

    (54) 퇴계가 서울에서 벼슬할 때, 어디에서 살았는가 84

    (55) 퇴계가 생애에 걸쳐 고향 도산과 서울을 왕복한 귀향은 몇 회인가 84


    7. 주택 건축 85

    (56) 집은 언제 처음 지었는가 85

    (57) 지산와사에는 언제까지 살았는가 86

    (58) 퇴계가 결혼 후 지산와사를 짓기까지 어디에서 살았는가 86

    (59) 두 번째로 지은 집은 언제, 어디인가 87

    (60) 세 번째로 지은 집은 언제, 어디인가 88

    (61) 네 번째로 지은 집은 어디인가 89

    (62) 다섯 번째로 지은 집은 어디인가 90


    8. 서당 건축 92

    (63) 계상서당은 언제 지었는가 92

    (64) 계상서당은 왜 지었는가 93

    (65) 계상서당에 입문한 대표적 제자는 누구인가 94

    (66) 퇴계는 율곡에게 어떤 가르침을 주었는가 95

    (67) 퇴계는 왜 도산서당을 지었는가 97

    (68) 도산서당은 언제, 어디에 지었는가 98

    (69) 도산서당 건립은 몇 년이 걸렸는가 98

    (70) 도산서당의 방 완락재에 있는 서쪽 반침 공간은 무엇인가 99

    (71) 도산서당의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100

    (72) 도산서당의 건물에 붙인 이름들은 무엇인가 101

    (73) 도산서당 제자들을 위한 기숙사는 무엇인가 102

    (74) 농운정사 앞 역락서재는 어떻게 지었는가 102

    (75) 도산서당에 입문한 제자는 누구인가 103

    (76) 도산서당 앞의 천연대는 어떤 곳인가 105

    (77) 천광운영대는 어떤 곳인가 106


    9. 서원 건립 107

    (78) 퇴계는 왜 서원 건립에 힘을 쏟았는가 107

    (79) 이산서원은 언제, 왜 세웠는가 108

    (80) 이산서원 원규 내용은 어떤 것인가 110

    (81) 역동서원은 언제, 왜 세웠는가 113

    (82) 퇴계는 왜 안동 최초 서원에 우탁을 모시고자 하였는가 116

    (83) 소수서원과 퇴계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118

    (84) 퇴계가 건립에 관여한 서원은 어떤 것이 있는가 119

    (85) 퇴계의 서원십영은 무엇인가 129

    (86) 서원십영에 등장하는 서원은 무엇인가 130


    제3장. 배움으로 교화하다 132


    10. 학문과 교육 132

    (87) 퇴계는 학문의 목적을 무엇으로 보았는가 132

    (88) 퇴계는 학문하는 자세에 대해 어떻게 가르쳤는가 133

    (89) 퇴계는 글 읽는 방법에 대해 어떻게 말하였는가 134

    (90) 퇴계는 제자들을 가르칠 때, 어떻게 하였는가 135

    (91) 퇴계가 과거 급제까지 공부한 여정은 어떠하였는가 137

    (92) 퇴계의 스승은 누구인가 139

    (93) 퇴계는 50대에 어떠한 학문 활동을 하였는가 140

    (94) 60대에는 어떤 학문 활동을 하였는가 141

    (95) 퇴계의 좌우명은 무엇인가 142

    (96) 퇴계 철학의 핵심인 경이란 무엇인가 143

    (97) 퇴계가 평생 실천한 거경궁리란 무엇인가 144

    (98) 퇴계는 왜 양명학을 비판했는가 146

    (99) 퇴계의 예안향약 내용은 어떤 것인가 150


    11. 제자와 퇴문십철 153

    (100) 퇴계의 제자는 모두 몇 명인가 153

    (101) 퇴계의 첫 번째 제자는 누구인가 155

    (102) 퇴계의 생애 마지막 제자는 누구인가 156

    (103) 퇴계보다 나이가 많은 제자는 누구인가 158

    (104) 대장장이 배순이 퇴계에게 배운 것은 사실인가 159

    (105) 퇴계의 제자 중 서자 출신은 누구인가 160

    (106) 퇴계의 제자 중 정승을 지낸 인물은 누구인가 161

    (107) 퇴문십철은 누구인가 162

    (108) 퇴계의 제자를 시대별로 구분할 수 있는가 167

    (109) 퇴문 1기 제자들은 누구인가 169

    (110) 퇴문 2기 제자들은 누구인가 170

    (111) 퇴문 3기 제자들은 누구인가 171


    12. 저서와 편지 172

    (112) 계상서당에서 저술한 책은 무엇이 있는가 172

    (113) 도산서당에서 저술한 책은 무엇이 있는가 175

    (114) 퇴계는 왜 성학십도를 지었는가 180

    (115) 성학십도의 내용은 무엇인가 181

    (116) 퇴계는 누구의 행장을 지었는가 188

    (117) 퇴계의 편지는 얼마나 되는가 195

    (118) 퇴계가 편지를 보낸 대상은 주로 누구인가 195

    (119) 퇴계의 편지가 이렇게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196

    (120) 퇴계의 편지를 가장 많이 받은 인물은 누구인가 197

    (121) 퇴계는 한글 편지(언문)를 썼는가 198


    13. 사단칠정론 198

    (122) 사단칠정이란 무엇인가 198

    (123) 퇴계와 고봉의 사단칠정논변은 단초가 무엇인가 199

    (124) 추만은 사단칠정과 이기를 어떻게 설명하였는가 200

    (125) 퇴계는 추만의 주장을 어떻게 수정하였는가 201

    (126) 고봉과 퇴계는 어떻게 만났는가 202

    (127) 고봉의 반박에 대한 퇴계의 주장은 무엇인가 203

    (128) 고봉의 주장은 무엇인가 204

    (129) 퇴계의 3차 수정설은 무엇인가 205

    (130) 퇴계의 3차 수정에 대한 고봉의 입장은 무엇인가 206

    (131) 퇴고 사칠논변의 기간과 서신 횟수는 어떻게 되는가 207

    (132) 퇴계와 고봉이 주고받은 편지는 얼마나 되는가 207

    (133) 사단칠정논변은 조선 성리학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209


    제4장. 만리 향기를 피우다 211


    14. 인품과 덕망 211

    (134) 퇴계의 인간 존중을 볼 수 있는 일화는 무엇이 있는가 211

    (135) 퇴계의 검소함을 알 수 있는 일화는 무엇이 있는가 212

    (136) 퇴계의 청렴한 삶의 사례는 무엇인가 214

    (137) 퇴계의 준법정신을 알 수 있는 사례는 무엇인가 215

    (138) 퇴계는 세금에 대해 어떤 자세를 가졌는가 216

    (139) 퇴계의 겸손을 알 수 있는 일화는 무엇인가 218

    (140) 퇴계의 배려 정신을 알 수 있는 일화는 무엇인가 220

    (141) 퇴계의 식생활은 어떠하였는가 220

    (142) 퇴계는 처가에 대해 어떻게 대하였는가 221


    15. 언행과 몸가짐 224

    (143) 퇴계의 하루 일상 모습은 어떠하였는가 224

    (144) 퇴계는 글씨를 어떻게 썼는가 225

    (145) 퇴계 선생께서 술에 대해 어떤 말씀을 하였는가 226

    (146) 이자에 대해 어떤 말을 하였는가 226

    (147) 퇴계는 남에게 충고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였는가 227

    (148) 입지에 대해 퇴계는 어떤 말을 하였는가 228

    (149) 퇴계는 권력자가 부를 때, 어떻게 하였는가 228

    (150) 퇴계가 소심하고 유약한 성품이 있는가 230

    (151) 퇴계는 혐의를 피하기 위해 어떻게 하였는가 231

    (152) 퇴계는 선물을 받거나 줄 때, 어떻게 하였는가 232

    (153) 퇴계는 처가살이를 하였는가 233

    (154) 퇴계는 정자를 지었는가 234


    16. 한시와 유산 235

    (155) 퇴계의 한시는 모두 몇 수인가 235

    (156) 퇴계 선생 최초의 한시는 무엇인가 236

    (157) 퇴계 생애 마지막 한시는 무엇인가 237

    (158) 퇴계의 매화시는 몇 수가 있는가 239

    (159) 퇴계의 매화 증답시는 몇 수가 있는가 240

    (160) 퇴계의 청량산에 관한 시는 몇 수인가 241

    (161) 청량산 시 가운데 대표적인 시는 무엇인가 242

    (162) 퇴계 시의 특징은 무엇인가 243

    (163) 퇴계의 시조는 몇 수가 있는가 245

    (164) 도산십이곡은 무엇인가 246

    (165) 퇴계는 남도 여행을 언제, 어디로 다녔는가 247

    (166) 퇴계는 단양에서 유산하였는가 249

    (167) 퇴계는 풍기 소백산을 언제 유산하였는가 250

    (168) 퇴계는 청량산 유산을 언제 하였는가 253


    제5장. 석양은 노을을 붉게 물들이다 255


    17. 서세와 장례 255

    (169) 퇴계 선생께서는 언제 돌아가셨는가 255

    (170) 퇴계의 유언은 무엇인가 256

    (171) 상장례는 퇴계의 유언대로 시행되었는가 258

    (172) 퇴계가 돌아가시고 조정에서는 어떻게 하였는가 259

    (173) 장례 기간과 참여 인원은 어떠한가 261

    (174) 묘갈명은 누가 짓고, 언제 세웠는가 261

    (175) 퇴계 묘소 지석은 언제 묻혔고, 어떤 내용인가 262

    (176) 고봉이 쓴 퇴계 선생 묘지 지석 내용은 무엇인가 263

    (177) 퇴계의 맏며느리 묘소가 왜 퇴계 묘소 바로 아래 있는가 264

    (178) 퇴계 신도비가 있는가 265


    18. 도산서원 266

    (179) 도산서원은 언제, 어떻게 세웠는가 266

    (180) 퇴계의 시호는 무엇이며, 언제, 어떻게 받았는가 267

    (181) 도산서원의 건물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268

    (182) 도산서원의 기능과 역할은 무엇인가 275

    (183) 도산서원 옥진각에 있는 선기옥형은 누가 언제 만든 것인가 277

    (184) 퇴계 선생을 모신 서원은 무엇이 있는가 278


    19. 도산 별과 279

    (185) 도산서원에서 과거 시험은 언제 있었는가 279

    (186) 정조 임금은 왜 도산서원에서 과거 시험을 보게 하였는가 280

    (187) 도산별과의 응시자, 합격자는 몇 명이며 누구인가 283

    (188) 도산별과를 기록으로 남긴 것은 무엇인가 283

    (189) 교남빈흥록의 내용은 어떤 것인가 285

    (190) 도산서원 앞 호수 가운데 있는 시사단은 무엇인가 286

    (191) 도산사숙록과 이자수어는 무엇인가 287


    20. 퇴계 일화의 오해 289

    (192) 퇴계가 둘째 며느리를 개가시켰다는 것은 사실인가 290

    (193) 권씨 부인이 퇴계의 흰색 두루마기를 붉은 천으로 기웠다는 것은 사실인가 292

    (194) 퇴계와 단양 관기 두향과의 로맨스 일화는 사실인가 293

    (195) 정인홍이 제자가 되기 위해 도산서당으로 찾아왔었는가 296

    (196) 퇴계호색설 일화는 근거가 있는 이야기인가 298

    (197) 도산서당의 동쪽 쪽마루를 한강 정구가 추가로 지었다는 것은 사실인가 299

    (198) 도산서당에 사람이 오갈 때, 유정문 밖까지 나가서 맞고 보낸 것은 사실인가 300

    (199) 퇴계 선생의 호 ‘퇴계’는 46세부터 사용한 것이 맞는가 301

    (200) 지금 사용 중인 천 원권 지폐의 퇴계 영정은 맞는 것인가 304


    제2부. 퇴계, 예던길에서 만나다 307


    제1장. 퇴계와 고봉 사칠논변의 시작과 끝 309

    1. 들어가며 309

    2. 이와 기, 사단칠정은 무엇인가 311

    3. 추만의 천명도와 사단칠정 변론 발단 317

    4. 사단칠정 변론 왕복 서신 320

    5. 퇴계 고봉 사칠논변의 정리 351

    6. 나가며 356


    제2장. 퇴계의 청량산 사랑 359

    1. 들어가며 359

    2. 청량산은 어떤 산인가 361

    3. 청량산과 퇴계 363

    4. 자연으로 돌아와 서당을 짓다 367

    5. 퇴계의 인간적 면모와 자연 사랑 371

    6. 유산은 독서이다 375

    7. 퇴계의 자연 속의 공부 376

    8. 청량정사 379

    9. 마치며 380


    제3장. 선인다 세상을 향한 퇴계의 여정 382

    1. 들어가며 382

    2. 퇴계의 여정 382

    3. 마치며 397


    제4장. 퇴계는 왜 매화와 시를 주고받았나 399

    1. 퇴계 매화시 399

    2. 매화 증답시 401

    3. 나가며 416


    제5장. 도산서당에 초대받은 성현은 누구인가 419

    1. 서당 419

    2. 도산서당 422

    3. 도산서당에 초대받은 성현 425

    4. 퇴계의 메시지 446

    5. 나가며 450


    제6장. 퇴계의 삶에서 귀향이란 무엇인가 452

    1. 귀향과 낙향 452

    2. 퇴계의 귀향 454

    3. 시대별 귀향 상황 462

    4. 퇴계의 귀향과 의미 482

    5. 나가며 486


    참고문헌 488

    저자소개

    몽천 이동원(교육학박사)

    1946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나 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면서 1992년 계명대학교에서 협동학습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구에서 40여 년 교직에 종사하면서 교사, 겸임 교수, 장학관, 초등학교장, 대구교육연수원장을 마지막으로 2009년 8월 말 정년 퇴임하였다. 2010년 1월부터 4개월간 하와이대학교내 CAPE에서 영어를 공부하였으며, 2012년부터 10년간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에서 퇴계 선생의 선비정신을 배우고 전하는 일에 참여하고 물러나서 무위도식과 소일을 벗 삼고 있다.


    <저서>

    •인지 학습의 이론과 적용(1987, 번역서, 우신출판사)

    •인간교육과 협동학습(1995, 성원사)

    •수업의 이론과 실제(1996, 공저, 중앙적성출판사)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적용(2009, 교육과학사)

    •정년 기념 논문집(2009, 서경출판사)

    •살며 생각하며(2018, 교육과학사)

    •석병 선생 문집(2024, 보고사)

    상품 정보 고시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교환정보

    배송

    30,000원 이상의 주문시에 배송료는 무료이며, 30,000원 미만시 배송료는 2,500원 입니다. 
    입금확인일 이후 2~3일 안에 물품을 받아보실 수 있으며(일요일, 공휴일 제외) 산간 도서 지방일 경우 1~2일정도 지연될수 있습니다.
     

    교환

    * 사전 연락을 주셔야 하며, 모든 상품의 교환 및 환불은 구입일로부터 10일 이내에 가능합니다. 
    1) 상품에 하자가 있을 때 
        저희측 실수로 인한 하자발생시 100% 교환 및 반품 가능하며 배송료는 저희측 부담입니다. 
    2) 소비자의 기호변경, 주문서 잘못 기입 
        소비자의 기호변경과 잘못된 주문으로 인한 교환에 따른 배송료는 왕복배송료 모두 소비자부담이며,
        상품에 하자 및 이상이 없을 때 가능합니다. 
    ▷교환 및 반품 방법 031-955-6956~8 으로 연락하신후 보내실 물품을 주시면 됩니다.
        보내실 주소는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문발리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514-5호
        (도서출판)교육과학사 특판영업부
    '입니다.
     

선택된 옵션

  • 개울가로 물러난 퇴계
    +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