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목차
제1장 지리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1. 서론
2. 지리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지리적 통찰력
3. 개인의 자아실현과 지리교육
4. 민주 시민 정신의 신장과 지리교육
제2장 지리 수업활동의 설계와 체계화
1. 지리 교사의 전문성
2. 지리 수업 설계
3. 지리 수업 설계의 과정
4. 지리 학습 과제의 분석
5. 지리 수업 활동의 구성
6. 결론
제3장 지리 수업에서의 개념학습방법
1. 서론
2. 개념 학습의 연구동향
3. 개념, 개념 분류와 지리교육
4. 지리교과에서의 개념학습 모형
5. 결론
제4장 지리교육에서의 창의성 신장 수업
1. 서론
2. 지리교육에서의 창의성 교육 연구
3. 지리교육에서의 창의성 신장의 가능성 모색
4. 결론
제5장 지리적 논쟁문제의 수업모형
1. 서론
2. 지리교육과 논쟁문제
3. 지리적 논쟁문제의 교수모형과 수업활동
4. 결론
제6장 지리 수업과 ‘개념지도’학습방법
1. 서론
2. 지식구조와 텍스트 그리고 인지구조와 구성주의
3. 지리 수업전략으로서 개념 지도의 그 의미와 역할
4. 지리 수업에서 개념지도 방법의 적용과 실천
5. 지리 수업전략으로서 개념지도의 이용가능성과 한계
제7장 지리 수업과 가치 교수 방법
1. 서론
2. 지리 수업에서 가치교육과 가치교수방법의 필요성
3. 지리교육에서의 가치교수방법의 비판적 검토
4. 결론
제8장 지리 수업의 가치 교수-학습 프로그램
1. 서론
2. 지리교육에서 가치교육의 연구경향
3. 지리과 가치 교수-학습 프로그램
4. 결론
제9장 지리 수업에서의 도해력 학습 방법
1. 서론
2. 지리적 기능으로서의 도해력과 지도의 기본 요소
3. 도해력 신장을 위한 문제해결중심의 수업모형 개발
4. 문제 해결 중심의 도해력 수업 활동의 실제
5. 결론
제10장 지리 수업에서의 환경 교육 방법
1. 서론
2. 사회과 지리교육과 환경교육
3. 지속가능한 발전과 사회과 지리교육
4. 지속가능한 발전을 활용한 환경교육 방안
5. 결론
제11장 지리 수업의 평가 문제 개발
1. 서론
2. 해석형 객관식 평가 문제
3. 해석형 지리 문제의 설계와 정교화
4. 결론
저자소개
1964년 전주에서 출생하였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과(지리전공)에서 교육학박사를 받았다. 그리고 인천시의 중등학교에서 지리를 가르쳤으며 1996년부터 전주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2002년에는 미국 Texas A & M 대학교의 연구교수로 다녀왔다. 현재는 전주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면서 참여자치 전북시민연대 공동대표, 전라북도 지명위원회 위원, 전북혁신도시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