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목차
머리말 3
Chapter_ 1 미술교육의 목적과 목표 15
1. 미술교육의 목적 15
1) 미적 안목 육성·15 / 2) 창의성 계발·16
3) 시지각의 계발·17 / 4) 시각적 문해력 육성·19
5) 감성의 함양·20
2. 미술교육의 목표 21
1) 미술교육자들의 견해·21 / 2) 구성주의 학자들의 견해·22
3) 창의·인성과 융합인재 교육적 견해·25 / 4) 미술과 교육 목표·29
Chapter_ 2 미술교육사조의 변천 39
1. 표현기능 중심 미술교육 39
1) 중세와 르네상스 시기의 미술교육·39
2) 산업혁명 시기의 미술교육·41 / 3) 바우하우스·42
2.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 45
3. 학문 중심 미술교육 47
4. 포스트모던 미술교육 51
1) 포스트모더니즘의 의미·51 / 2) 포스트모더니즘과 미술·53
3) 포스트모더니즘과 미술교육·54
5. 다문화 미술교육 56
1) 다문화 교육·56 / 2) 다문화 미술교육·59
Chapter_ 3 어린이 미술의 이해 67
1. 어린이 미술의 특징 67
1) 인지발달 관점·68 / 2) 지각발달 관점·71
3) 정신분석적(psychoanalytic) 관점·76 / 4) 사회문화적 관점·79
2. 미술표현 발달 단계 84
1) 로웬펠드의 단계·84 / 2) 허위츠와 데이의 단계·93
Chapter_ 4 미술과 교육과정 101
1. 교육과정의 개념과 유형 101
1) 교육과정의 개념·101 / 2) 교육과정의 분류·103
3) 교육과정의 유형·107
2.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 110
1)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111 / 2)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121
Chapter_ 5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131
1. 미술 교수-학습의 특성 131
2. 미술 학습의 원리와 발상 전략 132
1) 미술 학습의 원리·132 / 2) 창의적 발상 전략·138
3. 미술과 교수-학습의 모형 143
1) 귀납적 사고법·143 / 2) 직접 교수법·145 / 3) 창의적 문제 해결법·146
4) 반응중심 학습법·147 / 5) 펠드만의 비평 모형·149
6) 프로젝트 학습 모형·150
Chapter_ 6 미술과 교수-학습 설계 161
1. 학습 목표의 의미 161
2. 학습 목표의 진술 162
3. 미술과 학습 목표의 설정과 진술 165
1) 미술과 행동적 진술 용어·165
2) 학습 목표와 학습문제의 진술의 예·167
4. 학습 요소,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169
1) 체험·169 / 2) 표현·169 / 3) 감상·170
5. 미술과 교수-학습의 설계 171
1) 교수-학습 설계의 필요성과 고려 사항·171
2) 교수-학습 과정안의 예·172
Chapter_ 7 미적 체험교육 187
1. 미학과 미술교육 187
1) 미학의 개념과 미술교육에서 의미·187 / 2) 예술론·190
2. 미적 체험의 미술교육적 함의 197
1) 미적 체험에서 미적 태도·197 / 2) 듀이의 미적 체험·199
3. 교육과정에서 미적 체험교육 202
1)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적 체험교육·202
2) 미적 지각을 통한 사고력 교육·204
Chapter_ 8 회화·조소 교육 215
1. 조형 요소와 원리 215
1) 조형 요소·215 / 2) 조형 원리·219
2. 드로잉 교육 222
1) 드로잉 교육의 의의·222 / 2) 드로잉 교육의 종류·223
3) 드로잉 교육의 내용·224
3. 회화 교육 225
1) 회화 교육의 의의·225 / 2) 회화 교육의 종류·226
3) 회화 교육의 내용·229
4. 한국화 교육 231
1) 한국화 교육의 의의·231 / 2) 한국화 교육의 종류·232
3) 한국화 교육의 내용·235
5. 판화(printmaking) 교육 240
1) 판화 교육의 의의·240 / 2) 판화 교육의 종류·241
3) 판화 교육의 내용·243
6. 조소 교육 244
1) 조소 교육의 의의·245 / 2) 조소 교육의 종류·245
3) 조소 교육의 내용·247
Chapter_ 9 디자인 공예, 서예, 영상 미술교육 253
1. 디자인 교육 253
1) 디자인 교육의 의의·253 / 2) 디자인의 종류·254
3) 디자인 교육의 내용·255
2. 공예 교육 257
1) 공예 교육의 의의·257 / 2) 공예의 종류·257
3) 공예 교육의 내용·259
3. 서예 교육 261
1) 서예 교육의 의의·261 / 2) 서체와 서예도구·263
3) 서예 교육의 내용·263
4. 영상 미술교육 265
1) 영상 미술교육의 의의·265 / 2) 영상 미술의 종류·266
3) 영상미술교육의 지도 내용·266
Chapter_ 10 미술사 교육 273
1. 미술사 교육의 의의 273
2. 교육과정에서 미술사 교육 274
1) 2009 개정 교육과정·274 / 2) 2015 개정 교육과정·277
3. 한국 미술사 279
1) 선사 시대 미술·279 / 2) 삼국 시대 미술·280
3) 통일 신라 시대 미술·281 / 4) 고려 시대 미술·281
5) 조선 시대 미술·282 / 6) 근대 미술·283
7) 현대 미술·283
4. 서양 미술사 284
1) 선사 시대 미술·284 / 2) 고대 미술·284
3) 중세 미술·285 / 4) 르네상스 미술·286
5) 바로크·로코코 미술·287 / 6) 근대 미술(19세기 미술)·288
7) 현대 미술·291
Chapter_ 11 미술 감상학습에서 발문 301
1. 미술 감상의 관점 302
1) 기호학적 측면·302 / 2) 미학적 측면·305
3) 사회·문화적 측면·308
2. 미술 감상 학습에서 발문의 관점과 발문 309
1) 발문의 목적·309 / 2) 발문의 기술·310
3) 감상 학습에서 발문의 관점·311 / 4) 발문의 실례·316
Chapter_ 12 미술관과 교육 327
1. 미술관의 역사 327
1) 미술관의 의미·327 / 2) 미술관의 역사·328
2. 미술관 교육의 역사와 의의 331
1) 미술관 교육의 유래·331 / 2) 미술관 교육의 유형·332
3) 미술관 교육의 의의·333
3. 미술관 학습 방안 335
1) 사전 학습·335 / 2) 현장 학습·337
3) 사후 학습·339
4. 미술관 교육 방향 343
Chapter_ 13 미술교육의 평가 349
1. 미술교육에서 평가의 개념과 특성 349
1) 평가의 개념·349 / 2) 미술과 평가의 특성·351
2. 미술교육에서 평가의 목표와 내용 354
1) 평가의 목표·354 / 2) 평가의 내용·356
3. 교육과정과 평가 365
1) 국가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365 / 2) 미술과 교육과정과 평가·367
4. 미술과 수행평가의 개념과 방법 370
1) 미술과 수행평가의 개념·370 / 2) 미술과 수행평가의 방법·374
Chapter_ 14 미술과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과제와 방향 385
1. 미술과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과제 385
1) 미술과에 대한 편견의 극복·385 / 2) 다양한 미술 교수 방법의 개발·388
2. 미술과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방향 390
부록 미술과 교육과정 397
찾아보기 413
저자소개
류재만은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및 박물관미술관교육전공 주임교수로 홍익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내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19년 10개월을 근무하면서 초등학교 현장경험을 쌓았고 미술교육 관련 제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그동안 초등 미술 국정 교과서, 검인정 초등 미술 교과서, 중학교 미술 교과서를 집필했다. 『미술교육학』, 『미술교육이론의 탐색』, 『초등미술과 교수법』, 『미술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재미있는 미술감상 수업』, 『생각을 여는 미술활동』, 『어린이를 위한 디자인수업』 등을 출간하였다. 한국조형교육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박물관미술관교육연구소 소장, 한국미술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손지현은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및 대학원 박물관·미술관교육 교수로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미술교육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초등학교 교사, 미국의 조지아 대학교 및 목원대학교 미술교육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현장에서 다양한 연령층의 미술교육 관련 문제를 연구하였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및 미술과 성취기준 개발에 참여하였으며, 중학교 미술 교과서(2009 개정 교육과정, 미진사),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인문학 창을 통해 본 미술, 미래엔)를 집필했다. 『창의력 비타민』, 『미술교육이론과 사상』, 『시각문화와 미술교육』, 『삶을 위한 미술교육』 등을 출간하였다. 한국미술교육학회 편집위원장, 한국교과서연구재단 비상임 연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