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목차
■ 머리말 / 3
제1장 대학로 공간의 역사와 공간정치학 15
1. 대학로 공간의 역사적 조명 15
2. 공간정치학적 접근 22
제2장 고등교육기관의 발생지, 명륜동·연건동·동숭동 지역 29
1. 성균관 설립과 학문·교육 공간 형성 30
2. 관립고등교육기관 설립과 근대대학 형성 37
1) 관립전문학교 운집 / 37
2) 경성제국대학 설립 / 46
3. 국립서울대학교 설립과 대학문화 형성 62
1) 학생서클의 등장과 정치·사회 비판의식의 공유 / 65
2) 사회참여적인 학생운동의 거점 / 76
3) 대학 캠퍼스 문화공간과 대학‘가(街)’의 형성 / 90
4) 문화·예술의 생산과 소비 / 96
5) 대학연극의 생산과 대항문화운동으로서의 ‘민속문화’ 부활 / 107
제3장 고급 문화·예술 공간으로서의 대학로 구축 113
1. 근대적 도시계획과 문화 콤플렉스의 조성 114
1) 대학로 문화공간의 계획과 구축 배경 / 114
2) 동숭동 주변 대학가 역사의 선택적 활용 / 118
3)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이주와 공공문화정책의 중심지 / 120
2. 미술공간의 조성 127
1) 미술회관의 개원: 시각예술공간의 랜드마크 / 127
2) 미술회관의 운영과 전시기획 / 131
3. 공연예술공간의 조성 139
1) 문예회관의 개원: 공연예술공간 형성의 토대 / 140
2) 문예회관의 운영과 공연기획 / 143
4. 소극장의 집적과 공연예술공간의 확장 147
1) 소극장의 이전 및 개관 / 148
2) 소극장의 밀집과 연극 클러스터의 형성 / 151
3) 상업적인 연극의 등장과 공연성격의 변화 / 156
제4장 대학로 문화정책의 특화와 혼종적 공간 재현 161
1. 정부의 대학로 지역 문화정책의 실행 162
1) 대학로의 문화소비공간화 / 163
2) 차 없는 거리 시행 / 165
3) 문화의 거리 조성사업 / 169
4) 문화지구 특화정책 / 177
2. 대학로의 포스트모던적 특성 195
1) 공간의 혼성화 강화 / 196
2) 마로니에공원의 포스트모던적 소비 / 208
3. 소비공간의 가속화와 문화·예술 공간의 구심성 약화 212
1) 상업지대의 확장 / 213
2) 민간 소극장의 폐관이나 이주 / 219
4. 공공문화예술지원기관의 구조 변화 226
1) 한국문화예술위원회로의 구조 변경과 이주 / 226
2) 미술회관에서 아르코미술관으로 / 230
3) 문예회관에서 아르코예술극장으로 / 236
5. 교육·문화·예술 자원의 인입과 잠재적 기능 239
제5장 추상공간화와 차이공간의 생산 가능성 251
■ 참고문헌 271
저자소개
양은아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