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 책은 내가 쓰고 싶었던 책이며 특수교육요구 학생에 초점을 둔 방대한 문헌을 종합하고 있다. 이것은 내용이 풍부하고 읽기 쉽고 여러분이 믿을 만한 자료이다. 굉장히 매력적인 책이다.’
Professor John Hattie, University of Melbourne, author of Visible Learning
‘통합적인 교육적 접근을 채택하는 것에 헌신을 둔 사람들을 위한 시기적절하고 유용한 자료이다. 이 책은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증거기반 전략의 개요서이다.’
Professor Lani Florian, University of Edinburgh
목차
∙ 역자 서문 9저자소개
David Mitchell은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소재 Canterbury대학교 사범대학의 비상근 교수이며, 통합교육 자문가이다.
박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Seung Hee Park, Ph.D. Ewha Womans University, Dept. of Special Educatio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시라큐스(Syracuse)대학교 특수교육 및 재활학과에서 지적장애 전공으로 석사학위, 특수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2000년엔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방문학자로, 2008년엔 일본 도쿄 가쿠게이(학예) 대학교의 객원교수로 통합교육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주제는 지적장애, 통합교육, 기능적 교육과정, 효과적 교수전략, 지원고용, 장애학 관련 쟁점들이다. 대표 저역서로 <한국장애학생 통합교육: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관계 재정립>, <마서즈 비니어드 섬 사람들은 수화로 말한다: 장애 수용의 사회학>, <장애란 무엇인가?: 장애학 입문> 등과, 특수교육 및 장애관련 논문 110여 편을 출판하였다.
2001년 국내 최초로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교육 및 평생교육 프로그램인 “발달장애인 지역사회생활 아카데미”(E-ACOLA)를 이화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시작해 17년간 지속하고 있으며 국내 대학교 중 최초로 2009년부터
이화여대 내 발달장애인 지원고용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직무지도 및 그 외 지원을 총괄하고 있다.
최하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Hayoung Choi, Ph.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t. of Education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특수교육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 캠퍼스(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의 특수교육학과에서 자폐 및 발달장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 공립 초등학교에서 특수학급 교사로 근무하였으며,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1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편찬 책임을 맡은 바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과 특수아동을 위한 미술관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과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생활중심 과학프로그램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발달장애아동의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중재, 교원양성대학에서 교사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지적장애학생의 중등이후교육: 대학을 생각하다>, <특수아 상담>,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 중재> 등이 있다.
박은영 전주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Eun-Young Park, Ph.D. Jeonju University, Dep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연세대학교에서 재활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공주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을 전공하고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지적장애, 자폐범주성 장애, 중도중복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교육 프로그램 담당 직업훈련교사로 근무하였다. 현재는 전주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특수교육학, 지적장애아교육, 지체장애교육, 전환교육, 장애아 진단 및 평가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진로와 직업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였으며, 진로와 직업 교과 국정도서 개발에 참여하였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뇌성마비아동의 일상생활활동, 일상생활 참여에 미치는 요인 등에 대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장애아동 가족 및 아동의 삶의 질, 장애인의 빈곤과 정보격차 문제 등의 문제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평가 도구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 및 심리 등을 타당하게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은하 강남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Eunha Kim, Ph.D. Kangnam University, Dept. of Primary Special Education
강남대학교 특수교육과를 졸업하고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특수교사로 근무하였다. 미국 Long Island University(C.W.Post)에서 Clinical Art Therapy 전공으로 MA 학위를 받았고, 미국 뉴욕 크리드모어 주립정신병원에서 미술치료사 인턴으로, 일산 백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에서 미술치료사로 재직하였으며, 미국공인미술치료사 자격(ATR)을 취득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지적장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강남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 통합학급 수업참여방안> 번역과 <복지와 테크놀로지>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관심 연구 분야는 지적장애학생 교육, 지적장애학생 전환교육, 개인중심계획(Person-Centered Planning), 인성교육, 장애학, 장애아동 미술치료, 교육분야 국제개발협력 및 복지기술(Welfare-Technology)이다.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