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화된 자본주의 물질문명 속에서 우리 인간은 나무 하나만이 아니라 나무들이 끝없이 줄지어 서있는 풍요로운 숲 속에서 삶의 위안을 얻는다. 무수히 많은 예술가가 자신의 존재 이유를 탐색하고 그들이 인지하는 세상을 ‘우리’라는 공동체에 보여줌으로써 일상을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보도록 하고 낯선 주제들과 만나 소통하고 공감할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준다. 이는 예술을 단지 감상하는 것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나와 세상이 얼마나 긴밀히 연결된 존재인가를 깨닫게 해 주는 교육적 실천을 통해 가능하다.
이 책은 사회적 융합과 통합을 위해 제도적으로 추진되는 문화예술교육 실천 현장 사례를 조사 분석한다. 서로 다른 다문화 환경과 역사를 가진 사람들이 한 사회의 문화, 정치, 경제적 배경 속에서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해 그동안 행해온 문화예술교육 실천 노력의 실효성을 반성적으로 검토한다. 다문화주의의 비판적 담론과 예술교육의 인문학적 접근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다변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에 노출되어 자신이 어디로 가는가를 인식하지 못하며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으로 사회 부적응과 불안, 충돌 등을 가져올 수도 있는 상황들을 해결해 나가고 안정된 사회로 나아가는 데 예술이 중요한 매개임을 인지해야만 한다. 이 책은 이를 인문학적 통찰과 접근으로 다문화주의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한 성찰과 모색의 일환으로서 문화 정체성이라는 관점 측면에서 예술교육의 새로운 변화를 가져다줄 것이다.
목차
서문 / 3
제1장 왜 다문화인가
1. 문화와 의미의 관계 ···················································12
1) 문화진화론에 따른 문화의 속성 14
2) 공유된 의미의 생성과 상징체계 16
3) 담론과 이데올로기 20
2. 문화 정체성 ·························································25
1) 문화적 다양성 25
2) 문화 이데올로기 29
3) 문화 정체성 31
3. 다문화주의에 대한 새로운 시각 ·········································37
1) 다문화주의 등장 배경 37
2) 다문화주의의 다양한 해석 39
3) 한국적 다문화주의 43
4) 포스트모더니즘과 다문화주의 46
4. 다문화주의의 교육적 실천 적용 문제 ····································50
1) 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차이 50
2) ‘나’와 ‘우리’의 상호의존적인 문화교육 53
3) 다문화 감수성과 역량 57
4) 문화예술교육과 다문화교육 61
제2장 예술과 다양성, 다문화 실천 담론
5. 예술의 사회학적 이해 ·················································65
1) 예술사회학의 출현 65
2) 취향과 안목으로서의 예술 68
6. 예술교육의 문화재생산 담론 ············································72
1) 교육사회학의 기원 72
2) 교육의 문화재생산 기능 74
3) 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재생산 76
4) 근대 이후 학교 미술교육의 문화재생산적 담론 80
7. 인간 경험 이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83
1) 세계 인식의 한 방식으로서의 예술 83
2) 삶과 앎의 매개물로서 예술 들여다보기: 존재의 미학 85
3) 예술에 대한 이해의 방식과 문화 88
4) 존재 방식에 대한 이해 91
8. 문화적 다양성과 경험의 내러티브 ·······································93
1) 경험과 교육 95
2) 예술과 미적 경험 98
3) 미적 경험과 내러티브 100
4) 예술체험 교육 내러티브 103
제3장 문화예술교육의 다문화 실천 사례
9. 영국의 ‘창의적 파트너십’ 프로그램 ······································113
1) ‘창의적 파트너십’ 문화예술교육 탄생 배경 114
2) ‘존재하기 위한 학습’, 그리고 ‘더불어 살기 위한 학습’ 115
3) 다문화 실천 성과 116
10. 미국의 문화예술교육 ·················································121
1) 예술교육 재투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122
2) 문화 다양성 교육을 위한 예술통합교육 접근 사례 127
3) 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132
4) 예술교육가로서 교사교육센터 LCI 프로그램 사례 135
5) 지방자치 체제 예술교육 재투자 및 예술교과와 주지교과의 융합 프로그램 구축 137
11. 한국의 학교 예술교육 ················································138
1) 한국의 근대 학교교육이념과 정책 139
2) 교육과정 이데올로기 속의 예술이라는 교과 142
12.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실천 ············································146
1)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146
2) 청년예술가교사에 의한 미적체험 예술교육 프로그램 149
3) 교육청과 문화재단 연계 지역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사업 153
4) 대학 인문교양교육에서의 예술을 통한 다문화 실천 사례 156
제4장 문화예술교육 실천 방향
13. 인문학적 접근 예술교육의 필요성 ······································173
1) 인문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예술의 의미와 본질 175
2) 오늘날 우리가 당연시하는 문명에 대한 반문 179
3) 근원적 인간 문제 해결에 관심 182
4) 지금 여기에서의 존재 방식에 대한 성찰 184
14. 예술교육의 다문화 실천 가능성 ········································187
1) 인간에 대한 존재론적 통찰 187
2) 지각적 체험을 통한 앎 190
3) 문화적 존재로서의 인간 발달 교육 192
4) 융‧복합적 소양과 유연한 사고 함양 195
15. 인문학적 접근 예술교육의 다문화 실천 사례 ·····························197
1) 인문학과 예술의 접목: 통합적 인지 197
2) 예술을 통한 교양교육 201
3) 융‧복합 접근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미술감상 콘텐츠 적용 사례 204
16. 한국의 다문화 실천 양상 ·············································233
1) 한국 다문화주의의 문화 정체성 이슈 233
2) 한국의 다문화교육 236
3)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추진 배경과 다문화 실천 양상 240
17. 문화예술교육 실천: 비판적 논의 ·······································243
1) 문화산업 시대 예술 243
2) 세계화 시대 문화예술교육 246
3) 인공지능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248
4) 21세기 문화예술교육 실천 담론 251
맺음말 / 256
참고문헌 /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