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 가운데에서는 ‘프로트리뷰터’(protributor)라는 필자의 신조어를 몇 차례 마주치게 될 것이다. 이 단어는 생산자(producer)와 기부자(contributor)의 합성어로 필자가 미래학자인 토플러의 ‘프로슈머’(prosumer)를 본떠 만든 것이다. 필자는 학교 교육의 목적이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서 벗어나 지식을 생산하는 데 두어야 한다고 믿는다. 만들고 조작하는 일은 인간의 본성이기에 교육활동도 이를 최대한 반영해야 함은 당연한 일이다. 또 생성한다는 말은 창의성과 동의어라 해도 무방하고 창의력은 지적 영역의 최고의 교육목표로 인정되는 것이기에 최상을 향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필수적이라 본다.
목차
머리말 / 2
CHAPTER 01 학교 교육의 새로운 구상 11
Ⅰ. 세상에서 가장 좋은 학교 만들기 13
Ⅱ. 제1전선의 붕괴 - 가정교육의 위기- 17
Ⅲ. 제2전선의 와해 조짐 - 학원사업의 번창과 대안학교의 활개- 22
Ⅳ. 제2전선의 재정비 강화 26
Ⅴ. 최상의 학교 건설을 위한 헌신적 태세 33
❙참고문헌❙ 35
CHAPTER 02 교육과정의 개념화 37
Ⅰ. 혼란스러운 교육과정의 어의 39
Ⅱ. 교육과정 어원과 글자의 뜻 42
Ⅲ. 직선 vs 상관 유형 44
Ⅳ. 대비 vs 탈구조 유형 51
Ⅴ. 교육과정 빅 데이터의 시각화를 위하여 57
❙참고문헌❙ 59
CHAPTER 03 교육목표와 성취기준 61
Ⅰ. 다양한 ‘기준’ 용어 63
Ⅱ. 교육목표 설정과 진술의 다양성 65
Ⅲ. 미국의 기준 운동과 한국의 성취기준 설정 75
❙참고문헌❙ 87
CHAPTER 04 역량 개념의 변화상 89
Ⅰ. 역량 개념 도입과 교육과정 체제 변화의 시동 91
Ⅱ. 역량 개념의 혼란상 94
Ⅲ. 역량에 대한 행동주의 관점 96
Ⅳ. 역량에 대한 인지론의 관점 102
Ⅴ. 역량의 혼돈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109
❙참고문헌❙ 111
CHAPTER 05 글로벌 시대의 교육과정 115
Ⅰ. 지구는 하나 117
Ⅱ. 상생과 조화 118
Ⅲ. 성장의 한계와 허상 125
Ⅳ. 교육과정 얼개 짜기 129
Ⅴ. 하나 되기 135
❙참고문헌❙ 137
CHAPTER 06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139
Ⅰ. 부모의 품을 떠나지 못하는 자식 - 선행연구 답습의 폐해 - 141
Ⅱ. 교육과정 변천 연구의 시기 구분 143
Ⅲ.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결 - 이항적 대립에서 탈유형화 - 151
Ⅳ. 과거에서 현재, 그리고 다시 새롭게 - 변화하는 교육과정에 눈을 돌려야 - 156
❙참고문헌❙ 159
CHAPTER 07 학교 생활기록부의 변천 161
Ⅰ. 교육과정과 생활기록부 163
Ⅱ. 학적 중심의 기록 시기 165
Ⅲ. 아동 생활 기록의 확대와 조정기(제1~5차 교육과정기) 170
Ⅳ. 효율성 대 인권의 갈등 시기 177
Ⅴ. 교육과정과 생활기록부 개정의 과제 180
❙참고문헌❙ 183
CHAPTER 08 다문화 교육의 방향 185
Ⅰ. 다문화 논의의 빅뱅 187
Ⅱ. 다문화 논의의 연원 - 식색(食色)과 인의(仁義) 188
Ⅲ. 다문화 교육의 이념적 지향 - 대동화 192
Ⅳ. 다문화 교육의 실천적 지향 - 나눔과 베풂 202
❙참고문헌❙ 205
CHAPTER 09 경(經)과 인터넷 207
Ⅰ. 오래됨과 새로움의 엮음 209
Ⅱ. 오경의 구조와 형성 210
Ⅲ. 인터넷의 구조와 지식 형성 220
Ⅳ. 쓰임새와 짜임새의 어울림 231
❙참고문헌❙ 233
CHAPTER 10 학문의 교류와 통합 235
Ⅰ. 만남의 소회 - 이어짐 237
Ⅱ. 정주(定住) 중심의 탐구 239
Ⅲ. 유동적 접속으로 만들어 가기 247
Ⅳ. 또 다른 만남의 예후 - 탈주 254
❙참고문헌❙ 257
CHAPTER 11 성리학 기반의 인성교육 259
Ⅰ. 인성 연구와 교육의 현황 261
Ⅱ. 학교 교육에서 성리학의 훼손 과정 264
Ⅲ. 통합교육과정으로서의 성리학 270
Ⅳ. 인성 기반 교육의 재구조화 280
❙참고문헌❙ 284
CHAPTER 12 통합교과서의 변천 과정과 방향 287
Ⅰ. 통합교과서 개발의 문제 289
Ⅱ. 통합교과서의 변천 과정 290
Ⅲ. 통합교과서 개발의 현재 상황 309
Ⅳ. 통합교과서 개발의 방향과 대처 방안 316
❙참고문헌❙ 319
CHAPTER 13 한국 교육의 미래 321
Ⅰ. 기억작동법과 쿠레레 323
Ⅱ. 과거의 영상 326
Ⅲ. 한국 교육의 희망과 미래 334
❙참고문헌❙ 344
발문(跋文)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