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도덕성 발달 이론의 역사와 도덕교육 11
제1장 인간발달 이론과 도덕심리학 13
1. 인간발달의 세 가지 패러다임 14
2. 인간발달 연구 방법 19
3. 도덕심리학과 도덕성의 의미 22
제2장 인지발달 이론과 도덕성 발달 : 피아제와 콜버그 25
1. 인지발달 이론의 주요 가정 26
2. 피아제 이론 28
3. 콜버그 이론 37
4. 결 론 62
제3장 콜버그 이후의 도덕심리학 : 레스트와 튜리엘 65
1. 신콜버그적 관점 : 레스트 66
2. 사회 영역 이론 : 튜리엘 77
제4장 사회학습 이론과 도덕성 발달 91
1. 상호결정론으로서의 사회학습 이론 92
2. 유혹에 저항하는 행동의 학습 93
3. 도덕적 행동의 실행에 있어서 도덕적 이탈 98
4. 사회학습 이론의 공헌과 비판들 108
제5장 정신분석 이론과 도덕성 발달 111
1. 인성의 세 구성 요소 113
2. 도덕성 발달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설명 115
3. 정신분석 이론에 대한 비판 117
4. 도덕교육적 시사점 119
제6장 도덕과 교육의 목표 설정을 위한 도덕심리학적 기초 연구 123
1. 도덕성 발달 연구 개관 125
2. 도덕성 발달에 관한 국내외 연구의 결과 분석 127
3. 도덕심리학 영역에서의 연구 성과에 기초한 도덕과 교육의 목표 설정 136
4. 결론 및 제언 139
제2부 도덕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도덕교육 143
제7장 나바에즈의 도덕심리 이론과 통합적 윤리교육모형 145
1. 도덕 스키마 개념을 통한 윤리적 기술의 이론적 토대 구축 147
2. 윤리적 기술 및 전문성의 이론적 체계 정립 152
3. 통합적 윤리교육 모형의 적용 단계 159
4. 통합적 윤리교육 모형을 활용한 도덕교육 개선 방향 166
5. 결 론 170
제8장 하이트 도덕심리 이론의 도덕교육적 이해 173
1. 하이트 도덕심리 이론의 특징 : 도덕심리학의 세 원칙을 중심으로 175
2. 도덕심리학의 세 원칙에 대한 비판적 검토 188
3. 하이트 도덕심리 이론의 도덕교육적 기여와 한계 193
4. 결론 : 하이트 도덕심리 이론의 한계를 넘어 199
제3부 현대 도덕교육의 이론과 방법론 203
제9장 인격교육론 205
1. 미국 인격교육의 역사 206
2. 인격교육의 개념과 특성 209
3. 인격교육 이론의 세 가지 유형 214
4. 결 론 239
제10장 구성주의적 도덕교육론 245
1. 구성주의적 도덕교육의 이론적 배경 247
2. 구성주의적 도덕교육을 위한 인식론적 조건 261
3. 구성주의적 도덕교육을 위한 발달론적 조건 263
4. 구성주의적 도덕교육의 교수·학습 환경적 조건 265
5. 구성주의적 도덕교육의 학교 환경적 조건 272
6. 구성주의적 도덕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적 조건 273
7. 결론 : 초·중등 도덕과 교육을 위한 구성주의적 접근의 시사점과 한계 275
제11장 덕교육론 281
1. 덕교육의 의미 283
2. 덕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 284
3. 덕교육의 사상적 배경 :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의 덕론 287
4. 현대 덕 윤리학의 이론적 쟁점 : 덕 윤리학의 개념과 범위 304
5. 덕교육적 접근의 도덕교육적 시사점 309
제12장 공동체주의적 도덕교육론 313
1. 자아의 성격 및 형성에 관한 관점 314
2. 윤리학적 관점 320
3. 도덕교육에 관한 관점 327
4. 결론 : 공동체주의의 도덕교육적 시사점과 자유주의와의 조화 331
제4부 도덕교육의 통합적 접근 339
제13장 현대 도덕교육의 통합적 접근법 개관 341
1. 리코나와 러스낵의 통합적 인격교육론 342
2. 레스트의 통합적 도덕교육론 345
3. 데이먼의 도덕 발달 및 통합에 관한 이론 351
4. 블라지의 통합적 관점 354
5. 정의와 공감의 통합적 접근 356
6. 정의와 배려의 통합적 접근 363
7. 통합적 도덕교육 이론의 시사점 및 한계 366
제14장 구성주의적 인격교육 369
1. 인격교육과 구성주의적 도덕교육의 논쟁 370
2. 구성주의적 인격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376
3. 구성주의적 인격교육의 범위와 계열성 381
4. 구성주의적 인격교육의 과제 385
5. 결론 및 제언 390
제15장 도덕적 자아 형성 : 도덕성과 자아의 통합 393
1. 도덕적 자아의 개념과 발달 과정 396
2. 도덕적 자아와 도덕적 행동의 관계 408
3. 도덕적 자아 형성을 위한 도덕교육의 방법 411
4. 도덕적 자아 형성에 관한 향후 연구의 과제 421
5. 결 론 424
제16장 글로벌 시대의 도덕교육에서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의 통합 427
1. 도덕교육에서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의 통합적 접근들 429
2. 글로벌 시대 도덕교육에서 정의와 배려 윤리 간 통합의 중요성과 기본 방향 436
3.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의 통합적 관점에 근거한 글로벌 시대 도덕교육의 방법 445
4. 결론 및 제언 450
제5부 도덕과 교육의 지향과 과제 453
제17장 미래 지향적인 도덕과 교육의 설계와 실천 455
1.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도덕과의 21세기형 교육적 인간상’ 설정 455
2. 21세기형 도덕과 핵심 교육영역 설정 : 인성교육과 윤리적 시민교육 457
3. 도덕과의 교과역량 및 기능 재설정 468
4. 도덕과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의 개선 방향 472
제18장 증거 기반 도덕교육의 이해와 실천 방향 483
1. 증거 기반 교육 실천에 대한 이해 485
2. 증거 기반 도덕교육의 실태와 실천 방향 492
3. 결론 502
참고문헌 504
찾아보기 536
저자소개
정창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성교육연구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국가 인성교육진흥위원회 위원, 국회인성교육실천포럼 자문위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 자문위원, 국가교육과정기술자문회의 교육과정 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인성교육 지도자료인 [마음아람 프로젝트(중학교용)](2015), [안다미로 프로젝트(고등학교용)](2016) 개발의 책임자로 참여하였다. 또한 중학교 [도덕 1, 2], 고등학교 [통합사회], [윤리와 사상], [생활과 윤리], [인문학적 상상여행], [인문학적 감수성과 도덕적 상상력] 과목의 교과용 도서 개발 책임을 맡았다. 주요 저서로는 [21세기 인성교육 프레임],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사, 인성교육을 생각하다](공저), [도덕과 교육의 이론과 쟁점],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공저), [도덕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공저), [윤리와 논술Ⅰ], [질문하는 십대, 대답하는 인문학](공저), [Teacher Effectiveness](공저), [Critical Perspectives on Values Education in Asia](공저)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논쟁수업으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공역), [도덕 발달의 이론과 적용], [도덕철학과 도덕교육],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도덕적 민주적 역량, 어떻게 기를 것인가](공역), [도덕·가치교육을 위한 100가지 방법](공역),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공역), [정의와 배려](공역), [실패하는 학교](공역), [날마다 만나는 10분 윤리 동화](공역), [다문화주의 윤리학](공역) 등이 있다.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