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저자들은 도덕교육 실천에 관련된 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이고도 내실 있게 구성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기존의 책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도덕과 교사론, 수업전략 및 수업개발, 수업시연 및 수업분석, 교재 연구, 논술 활용’ 등을 새롭게 포함시킴으로써 교과교육론 교재의 내용 범위를 보다 확장하고자 하였다.
목차
책머리에 _ 3
제1장 도덕과는 왜 필요한가? 15
제2장 도덕과 교육과정의 이해 23
1.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념 및 역사적 변천 _ 25
2. 최근 도덕과 교육과정의 이해 _ 31
제3장 도덕과 교사론: ‘살아있음’의 도덕교육을 위한 도덕교사의 역할 49
1. ‘살아있음’으로서의 도덕교육의 의미: 인문학적 접근 개관 _ 51
2. ‘살아있음’으로서의 도덕교육의 의미: 생물학 이론과의 해석학적 소통 _ 53
3. ‘살아있음’으로서의 도덕교육을 위한 도덕교사의 역할 _ 59
4. ‘살아있음’으로서의 도덕교육의 실천 사례 _ 66
제4장 도덕과 수업 모형의 이론 및 실제 71
| 제1절 | 도덕적 딜레마 토론 모형 1: 콜버그 딜레마 토론 모형 / 73
1. 개념 및 이론적 배경 _ 73
2.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_ 74
3. 모형의 구조 _ 75
4. 모형 활용의 실제 _ 76
5. 활용상의 유의점과 교사의 역할 _ 79
| 제2절 | 도덕적 딜레마 토론 모형 2: 콘스탄츠 딜레마 토론 모형 / 82
1. 개념 및 이론적 배경 _ 82
2.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_ 83
3. 모형의 구조 _ 84
4. 모형 활용의 실제 _ 85
5. 활용상의 유의점 _ 89
| 제3절 | 역할놀이 모형 / 92
1. 개념 및 이론적 배경 _ 92
2.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_ 93
3. 모형의 구조 _ 95
4. 모형 활용의 실제 _ 96
5. 활용상의 유의점과 교사의 역할 _ 98
| 제4절 | 내러티브 수업모형 / 102
1. 개념 및 이론적 배경 _ 102
2.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_ 103
3. 모형의 구조 _ 105
4. 모형 활용의 실제 _ 106
5. 활용상의 유의점과 교사의 역할 _ 108
| 제5절 | 가치분석 모형 / 111
1. 개념 및 이론적 배경 _ 111
2.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_ 112
3. 모형의 구조 _ 113
4. 모형 활용의 실제 _ 114
5. 활용상의 유의점과 교사의 역할 _ 118
| 제6절 | 가치갈등 모형 / 121
1. 개념 및 이론적 배경 _ 121
2.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_ 123
3. 모형의 구조 _ 124
4. 모형 활용의 실제 _ 126
5. 활용상의 유의점과 교사의 역할 _ 128
| 제7절 | 가치명료화 모형 / 130
1. 개념 및 이론적 배경 _ 130
2.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_ 132
3. 모형의 구조 _ 134
4. 모형 활용의 실제 _ 135
5. 활용상의 유의점과 교사의 역할 _ 136
| 제8절 | 논쟁수업 모형 / 141
1. 개념 및 이론적 배경 _ 141
2.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_ 142
3. 모형의 구조 _ 144
4. 모형 활용의 실제 _ 145
5. 활용상의 유의점과 교사의 역할 _ 146
| 제9절 | 프로젝트 학습 모형 / 149
1. 개념 및 이론적 배경 _ 149
2.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_ 151
3. 모형의 구조 _ 154
4. 모형 활용의 실제(차시별 내용구성) _ 155
5. 활용상의 유의점과 교사의 역할 _ 162
| 제10절 | 협동 학습 모형 / 166
1. 개념 및 이론적 배경 _ 166
2.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_ 170
3. 모형의 구조 _ 172
4. 모형 활용의 실제 _ 175
5. 활용상의 유의점과 교사의 역할 _ 201
제5장 도덕과 수업 전략 및 수업 개발 205
| 제1절 | 민주적이고 배려적인 수업 분위기 조성 전략 / 207
1. 수업 분위기의 중요성 _ 207
2. 민주적 공동체 형성 전략 _ 209
3. 배려하는 관계 형성을 위한 수업 전략 _ 219
4. 나오며 _ 230
| 제2절 | 도덕과 발문전략 ①: 레스트와 나바에즈, ‘도덕성의 4 구성요소 모형’ 기반 / 233
1. 도덕과 수업에서 효과적인 발문 전략의 중요성 및 일반적 기준 _ 233
2. 레스트와 나바에즈, ‘4 구성요소 모형’ 기반 발문 전략 _ 236
3. 도덕성의 4 구성요소별 하위 구인 추출 및 발문 구성 _ 238
4. 도덕성의 ‘4 구성요소 모형’ 활용 수업모형 및 발문 구성 사례 _ 246
| 제3절 | 도덕과 발문전략 ②: 후설, ‘에포케(epoche)’ 기반 / 256
1. 후설, ‘에포케’의 이론적 배경 _ 256
2.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_ 258
3. 현상학적 환원 방법론을 활용한 도덕과 수업의 구조 및 적용 _ 259
| 제4절 | 도덕과에서 신문 활용 교육(NIE) 수업 개발 / 280
1. 신문 활용 교육(NIE)의 의미 및 목적 _ 280
2. 도덕과에서 신문 활용 교육(NIE) 수업의 유용성 _ 281
3. 도덕과 신문 활용 교육(NIE) 수업의 실제 _ 285
| 제5절 | 미디어 및 이미지 활용 도덕 수업 개발 / 298
1. 미디어 활용 교육(MIE)의 의미 _ 298
2. 미디어 활용 교육의 원칙과 방법 _ 299
3. 도덕과에서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_ 303
4. 도덕과 미디어 활용 교육(MIE) 수업의 실제 _ 306
| 제6절 | 도덕과 6C 논쟁 수업 개발 / 332
1. 개념 및 이론적 배경 _ 332
2.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_ 334
3. 수업의 구조 및 개발의 실제 _ 336
제6장 도덕과 수업시연 및 수업분석 353
| 제1절 | 도덕과 수업설계 및 지도안 작성 / 355
1. 도덕과 수업설계의 특징 _ 355
2. 도덕과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요령 _ 356
3. 도덕과 교수·학습 지도안 예시 _ 362
| 제2절 | 수업시연 방법 및 지도상의 유의사항 / 372
1. 수업시연 방법 _ 372
2. 지도상의 유의사항 _ 375
| 제3절 | 수업분석과 성찰 / 377
제7장 도덕과 교재 연구 381
| 제1절 | 도덕 교과용 도서에 대한 이해 및 활용 방법 / 383
1. 도덕과 교과용 도서의 개념 및 범위 _ 383
2. 도덕 교과용 도서의 구성 방식 _ 384
3. 도덕 교과용 도서의 역할 및 활용 방법 _ 386
| 제2절 | 도덕 교과서 분석 방법: 외형 및 내용 / 389
| 제3절 | 도덕과 검정 교과서 비교분석 방법: 양성평등교육을 중심으로 / 391
1. 분석대상 _ 391
2. 분석기준 _ 392
3. 분석결과 _ 393
| 제4절 |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의 설계 및 활용 / 405
1.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의 정의 _ 405
2.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의 분류 기준 _ 408
3.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설계의 기본 원리와 절차 _ 413
4.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설계의 실제 _ 417
제8장 도덕과 수행평가의 방법과 활용 429
| 제1절 | 서 론 / 431
| 제2절 | 수행평가의 필요성 및 의의 / 434
1. 수행평가의 필요성 _ 434
2. 수행평가의 개념 및 의의 _ 435
3. 도덕과 수행평가의 의의 _ 437
| 제3절 | 도덕과 수행평가의 여러 가지 방법 / 440
1. 서술형 및 논술형 검사 _ 440
2. 토론법 _ 442
3. 관찰법 _ 443
4. 연구 보고서법 _ 444
5. 포트폴리오법 _ 446
6. 프로젝트법 _ 447
| 제4절 | 결 론 / 449
제9장 도덕과 논술 지도 및 평가 451
| 제1절 | 도덕과에서 논술 활용의 목적 / 453
| 제2절 | 도덕과 논술의 내용 및 지도 방향 / 457
| 제3절 | 도덕과 논술의 교수·학습 방법 / 463
1. 가설적 가치선택: 만약 나라면 어떻게 할까? _ 463
2. 마인드 맵 _ 464
3. 도덕적 딜레마 토론 _ 465
4. NIE 활동 _ 466
5. 미디어 활용 _ 467
6. 연속선 전략 _ 468
| 제4절 | 도덕과 논술문 작성 및 평가관점 / 470
1. 개요 작성 _ 470
2. 논술 사례: 도덕적 인간 _ 471
3. 도덕과 논술 문제의 유형 및 평가 관점 _ 474
저자소개
정창우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성교육연구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국가 인성교육진흥위원회 위원, 국회인성교육실천포럼 자문위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 자문위원, 국가교육과정기술자문회의 교육과정 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인성교육 지도자료인 [마음아람 프로젝트(중학교용)](2015), [안다미로 프로젝트(고등학교용)](2016) 개발의 책임자로 참여하였다. 또한 중학교 [도덕 1, 2], 고등학교 [통합사회], [윤리와 사상], [생활과 윤리], [인문학적 상상여행], [인문학적 감수성과 도덕적 상상력] 과목의 교과용 도서 개발 책임을 맡았다. 주요 저서로는 [21세기 인성교육 프레임],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사, 인성교육을 생각하다](공저), [도덕과 교육의 이론과 쟁점],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공저), [도덕과 교재 연구 및 지도법](공저), [윤리와 논술Ⅰ], [질문하는 십대, 대답하는 인문학](공저), [Teacher Effectiveness](공저), [Critical Perspectives on Values Education in Asia](공저)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논쟁수업으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공역), [도덕 발달의 이론과 적용], [도덕철학과 도덕교육],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도덕적 민주적 역량, 어떻게 기를 것인가](공역), [도덕·가치교육을 위한 100가지 방법](공역),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공역), [정의와 배려](공역), [실패하는 학교](공역), [날마다 만나는 10분 윤리 동화](공역), [다문화주의 윤리학](공역) 등이 있다.
김혜진은 인천대학교 윤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인천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학문적 관심분야는 도덕교육, 도덕심리학이다.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고전과 윤리』, 『2015 개정 교육과정 범교과 학습 주제 교수학습 자료 인성교육』 개발 연구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였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의 중학교 자유학기 적용 사례연구」,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교육 내용 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 등이 있다.
김하연은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교육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광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학문적 관심분야는 도덕교육, 도덕심리학, 신경윤리학, 인성교육이다. 역서로는 『신경과학과 교육』, 『평화교육』이 있고, 저서로는 『디지털 시민성 핸드북』이 있으며, 그밖에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서 『인문학적 상상여행』과 『인문학적 감성과 도덕적 상상력』을 집필하였다. 대표 논문으로 「비판적 신경과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신경과학적 자아관에 대한 철학적 비판의 타당성과 한계: 자아의 신체화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이인태는 경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는 경기도 도곡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고 있다. 학문적 관심분야는 도덕심리학, 도덕성 측정, 도덕교육 등이다. 교육부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군 ‘도덕’ 교과서 집필』,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군 ‘도덕’ 교과서 집필』,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군 ‘도덕’ 교수·학습 자료 개발』,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 ‘도덕’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도덕과 평가기준 개발』 등에 공동 연구원으로 참여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도덕적 공동체 의식에 대한 심리적 접근으로서 사회 정체성에 대한 연구」, 「윤리적 성찰로서 윤리적 사후가정의 효과에 대한 연구」, 「도덕적 사고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도구로서 KMDD와 MCT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오유진은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현재는 서울 미래학교, 창덕여자중학교의 도덕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교육, 도덕심리학, 도덕철학 등이다. EBS 중학 프리미엄 강사로 활동하였으며, 저서로는 『춘천교육대학교 핵심 역량 측정 도구』가 있다. 논문으로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검토 및 제언」, 「‘살아있음의 도덕교육’ 실천을 위한 도덕 교사의 역할」 등이 있다.
이혜진은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및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석사를 졸업, 동 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수원 망포중학교 도덕 교사를 거쳐 동탄국제고등학교에 재직할 예정이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교육, 도덕심리학, 민주시민교육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도덕과 검정심의회 검정위원이었으며, 교육부 『중학교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 이렇게 하세요-도덕과』 개발 연구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시민적 인성 함양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 「도덕적 정체성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연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