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학교에서 혁신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이제라도 학교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헌 부대에 헌 술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학교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교수주의의 패러다임을 다시 강화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제가 보기에 열린교육이 그랬던 것처럼 “배움의 공동체”는 지금 교수주의의 방식으로 한국의 학교에 전파되고 있습니다. “배움의 공동체”가 지향하는 것과 그것을 실현하는 과정이 불일치하는 것입니다. 극복해야 할 교수주의 패러다임으로 교수주의 패러다임을 극복하려고 하고 있는 것입니다.
학교 혁신은 결과의 혁신이 아니라 과정의 혁신이며, 학교의 혁신이 아니라 사람의 혁신이라는 점을 잊지 않기를 바랍니다. 지금까지 한국의 교육 현실을 지배하는 것은 이상이 아니라 과정과 방식이었습니다. 아무리 추구하는 이상이 바람직해도 그것을 실현하는 과정과 방식이 그 이상과 일관되지 못하면, 결국 현실은 과정과 방식에 의해서 지배된다는 것을 잊지 않기 바랍니다.
목차
머리말 3
■ 총서 머리말: 뿌리샘의 교육 혁신 탐구 7
제1부 학교 혁신의 오류
제1장 “배움의 공동체”는 학교 혁신의 길이 될 수 있는가? 33
1. 한국 학교 교육의 현실 37
2. 한국의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시도와 한계 39
3. 대안적 접근의 모색 43
4. “배움의 공동체”와 존 듀이 46
5. “배움의 공동체”의 타당성 50
6. “배움의 공동체”가 한국의 학교 혁신에 주는 시사점 55
제2장 “배움중심수업?”을 실현하려면 63
1. “배움중심수업”이란? 65
2. “배움의 공동체 수업”은 아니다 68
3. 오해되지 않으려면? 72
4. ‘배움중심수업’을 실현하려면 74
제3장 “배움중심수업”을 버려야 ‘배움중심수업’이 산다 79
1. 세 번째 인연 81
2. “배움중심수업 2.0”의 구성과 의의 88
3. “배움중심수업 2.0”과 학생의 관점 91
4. “배움중심수업”을 버려야 95
5. ‘배움중심수업’을 하려면 103
제4장 지역은 교육 혁신의 블루오션인가? 111
1. 교육 혁신의 블루오션 113
2. 블루오션 속의 레드오션 118
3. 레드오션 속의 블루오션 131
제5장 혁신학교는 수업을 혁신하는가? 139
1. 혁신학교의 두 모습 141
2. 혁신학교와 수업 혁신 149
1) 혁신학교 149
2) 수업 혁신 155
3) 수업 혁신의 과정 158
3. 혁신학교의 미 혁신 163
1) 배움중심수업의 그늘 163
2) 그늘의 원인 169
4. 수업 혁신의 길 175
제2부 학교 혁신의 대안
제1장 학교 혁신의 대안적 패러다임 185
1. 패러다임의 전환 187
2. 학교 개혁과 교사 191
1) 학교 개혁의 열쇠 191
2) 학교 개혁 정책의 한계 200
3. 정치-공학적 패러다임 204
1) 연역적 사고와 합리적-구조적 접근 204
2) 학교 개혁 정책의 전제들 208
3) 정치-공학적 사고 212
4. 교육-해석적 패러다임 214
1) 내부자적 관점 214
2) 질적인 접근 218
3) 교육-해석적 사고 221
4) 대안적 시도들 226
5. 요약과 결론 230
제2장 수업 혁신의 대안적 접근 237
1. 혁신학교와 수업 혁신 239
1) 혁신학교의 성과 239
2) 수업을 혁신하는가? 243
2. 수업 혁신의 한계 246
1) 수업 모형의 한계 246
2) 혁신 과정의 한계 253
3) 사고의 한계 257
3. 수업 혁신의 대안 261
1) 교사 역량의 혁신 261
2) 혁신 과정의 혁신 264
4. 수업 혁신의 길 267
제3장 교사 혁신의 대안적 접근 273
1. 학교의 변혁은 가능한가? 275
2. 혁신학교는 새 부대일까? 278
1) 혁신학교가 담고자 하는 새 술 278
2) 새 술을 담은 헌 부대 283
3) 우리에게 필요한 새 부대 291
3. 새 부대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질적 연구의 가능성 293
1) 역설 293
2) 성찰적 실천으로서의 질적 연구 297
4.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는 어떻게 새 술을 담는가? 310
1)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의 탄생 310
2)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의 절차 314
3)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의 의의 321
5. 다시 희망을 가질 수 있을까? 325
1) 새로운 희망 325
2) 비판적 교육학과 성찰적 실천 328
제4장 교육 평등의 대안적 접근 335
1. 혁신학교의 교육 평등 337
1) 불평등 재생산 기구 337
2) 교육 불평등 극복으로서의 혁신학교 339
3) 혁신학교의 난점 344
2. 혁신학교의 교육 불평등 345
1) 교육 불평등 극복의 조건 345
2) 교육 불평등의 재현 354
3) 혁신학교의 역설 358
3. 질적 연구 방법의 교육 평등 360
1) 질적 연구 방법의 실천적 가능성 360
2)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366
3) 장성북중학교의 실천 사례 370
4. 질적 연구 방법의 학교 혁신 379
제5장 지역 교육의 대안적 접근 387
1. 교육과 지역 389
2. 국민 교육에서 지역 교육으로 391
1) 국민 교육의 등장 391
2) 지역 교육의 부활 393
3. 전북 지역 교육의 현실 397
1) 내용의 한계 397
2) 형식의 한계 399
3) 운영의 한계 401
4) 토대의 한계 404
4. 전북 지역 교육이 갈 길 407
1) 곧은나무와 굽은나무 407
2) 국민 교육과 지역 교육 408
3) 백년대계(百年大計)답게 415
5. 전북 지역 교육의 토대를 위한 제안 416
1) 지역 교육 연구소 416
2) 실험 학교 418
3) 지역 교과서 419
4) 지역 교육 전문가 420
5) 지역교육과 421
6. 사족 422
■ 찾아보기 427
저자소개
서근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교육학 심화 과정) 졸업
서울 무학, 구암, 대림초등학교 교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졸업(교육인류학 전공)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졸업(교육인류학 전공)
서울교육대학교 박사후 연수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중앙대학교, 건국대학교, 세종대학교, 가톨릭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강사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자문위원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대우)
청주교육대학교 연구교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직부 조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현재)
<주요 저서>
수업을 왜 하지?(2003, 우리교육)
수업에서의 소외와 실존(2009, 교육과학사)
학교 혁신의 길: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2012, 강현출판사)
학교 혁신의 패러독스: 교민(敎民)에서 회인(誨人)으로(2012, 강현출판사)
해석주의 교육사회학 탐구 (1)(2012, 강현출판사)
나를 비운 그 자리에 아이들을(2012, 교육과학사)
공동체는 어디에 있을까?: 우리 시대의 삶과 문화와 교육, 그리고 질적 연구(2013, 교육과학사)
수업, 어떻게 볼까?: 아이의 눈을 찾아서(2013, 교육과학사)
풀뿌리 교육론: 교육과정과 수업, 그리고(2016, 교육과학사)
수업 이해하기: 교육과정과 교사의 딜레마(2018, 교육과학사)
칼날처럼 읽고, 봄바람처럼 말하라: 교육학자의 토론과 토론문(2020, 교육과학사)
학교혁신의 선구자들: 슬픈 희망의 교육 생애사(2020,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