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학교는 공장이 아니고, 교육과정은 공정이 아니고, 수업은 공정의 가동이 아니다. 교원은 공정을 감독하는 공장장이 아니고, 학생은 공정에 따라서 일하는 노동자가 아니다. 그래서는 안 된다. 그렇게 되는 순간 학생은 소외된다. 수업의 과정에서 자기 자신으로서 살아가지도, 성장해가지도 못한다. 지금도 교실의 수업에서 큰 눈만 껌벅이고 있거나, 엎드려 자고 있거나, 장난치는 그 학생은 교육과정이나 수업의 계획에 학생이 부합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그 학생에게 교육과정이나 수업의 계획이 적합하지 못한 것은 아닐까? 만일 교육과정은 공정이고, 교육과정의 운영은 공정의 가동이라고 생각한다면 후자와 같은 생각은 할 수 없을 것이다.
목차
■ 머리말 3
■ 총서 머리말: 뿌리샘의 교육 혁신 탐구 7
제1부 교육 혁신의 다른 방향
제1장 제도에서 사람으로 33
1. 교육 혁신의 역설 35
2. 교육 혁신의 재해석 42
3. 구조적 모순 45
4. 누가 도토리를 심을까? 56
제2장 교민(敎民)에서 회인(誨人)으로 65
1. 양적 교육의 문제 67
1) 문제의 인식 67
2)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 73
3) 문제의 기원 77
2. 질적 교육의 모색 83
1) 교민(敎民)과 회인(誨人) 83
2) ‘배우다’와 ‘깨치다(깨닫다)’ 88
3) 질적 교육 91
3. 질적 교육의 실현 93
1) 질적 교육의 실현을 위한 조건 93
2) 질적 교육과 사회(司誨) 98
3) 사회(司誨) 되기 101
4) 학생의 눈 갖기 106
제3장 공정(工程)에서 연희(演戲)로 113
1. 공정(工程)으로서의 교육과정 운영 115
2. 연희(演戱)로서의 교육과정 운영 120
제4장 말에서 몸으로 129
1. 학교 교육의 문제 131
2. 학교 혁신 운동의 한계 136
3. 어렵지만 가야 하는 길 141
제2부 교육 혁신의 다른 길
제1장 교육인류학이란? 147
1. 인류학으로서 교육인류학 149
2. 교육학으로서 교육인류학 151
3. 교육인류학의 탐구 방법 152
제2장 탈문화적 식민의 길 157
1. 아류 학교 159
2. 대한민국 국가대표 펜싱 팀과 세종대왕 160
3. 교육인류학의 교육 이해(under-stand)와 실천 164
4. 교육인류학의 교육 이해(under-stand)와 실천의 방법 167
5. 학교 혁신의 길 173
제3장 대화로서의 교육 연구와 실천 177
1. 공학으로서의 교육 179
2. 탈공학으로서의 교육 185
3. 대화로서의 교육 189
4. 실천으로서의 교육 연구 199
5. 연구로서의 교육 실천 203
6. 교육인류학의 교육 연구 207
7. 교육인류학의 교육 실천: 아이의 눈으로 209
제4장 소외되지 않는 교육의 연구와 실천 219
1. 학교 교육과 소외 221
2. 교육인류학의 연구 대상 226
3. 교육인류학의 연구 방법 231
4. 교육인류학의 교육 실천 242
5. 교육인류학과 교육적 삶 250
제3부 수업 혁신의 다른 방법
제1장 성장을 위한 질적 교육의 실현 257
1. 어느 마을의 병원 이야기 259
2. 양적 교육과 질적 교육 266
3. 교육인류학과 질적연구 방법 270
4. 질적 교육의 실현 과정 279
1) 읽기, 쓰기, 말하기 281
2) 아이의 눈으로 세상 보기 282
3)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282
4) 아이의 눈으로 수업하기 284
5) 타자와 대화하기 286
제2장 해석적 갈등과 전환의 과정 289
1. 어느 수업 풍경 291
2. 수업이란? 293
3. 학습의 외적 과정 295
4. 학습의 내용 297
5. 학습의 내적 과정 300
6. 수업이란 무엇인가? 303
7. 수업 혁신이란? 305
제3장 수업의 성찰적 이해와 실천 309
1. 수업 개선과 성찰 311
2. 성찰과 탐구 315
3. 수업 성찰의 방법 319
4. 산이의 눈으로 보는 수업 327
1) 수업자의 선이해 정리: 사고력의 함양과 시간 327
2) 벼리와 선입견 정리: 눈엣가시 같은 아이 ‘산이’ 331
3) 수업의 과정 기술: “미래의 이동 수단” 수업 334
4) 실마리 행동 선정: “전광석화 신발” 342
5) 실마리 행동의 맥락 파악: “그것은 자동차가 아니잖아.” 343
6) 실마리 행동의 원인 추론: 걸어다니는 “따발총” 346
7) 수업의 의미 해석: 수형(囚刑)으로서의 수업(授業) 351
8) 성찰과 대안 모색: 나의 고정 관념 357
9) 대안의 실천: 영재아 산이 366
5. 수업을 아이의 눈으로 보아야 하는 까닭 369
■ 찾아보기 377
저자소개
서근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교육학 심화 과정) 졸업
서울 무학, 구암, 대림초등학교 교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졸업(교육인류학 전공)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졸업(교육인류학 전공)
서울교육대학교 박사후 연수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중앙대학교, 건국대학교, 세종대학교, 가톨릭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강사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자문위원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대우)
청주교육대학교 연구교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직부 조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현재)
<주요 저서>
수업을 왜 하지?(2003, 우리교육)
수업에서의 소외와 실존(2009, 교육과학사)
학교 혁신의 길: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2012, 강현출판사)
학교 혁신의 패러독스: 교민(敎民)에서 회인(誨人)으로(2012, 강현출판사)
해석주의 교육사회학 탐구 (1): 상식 밖의 교육학(2012, 강현출판사)
나를 비운 그 자리에 아이들을(2012, 교육과학사)
공동체는 어디에 있을까?: 우리 시대의 삶과 문화와 교육, 그리고 질적 연구(2013, 교육과학사)
수업, 어떻게 볼까?: 아이의 눈을 찾아서(2013, 교육과학사)
풀뿌리 교육론: 교육과정과 수업, 그리고(2016, 교육과학사)
수업 이해하기: 교육과정과 교사의 딜레마(2018, 교육과학사)
칼날처럼 읽고, 봄바람처럼 말하라: 교육학자의 토론과 토론문(2020, 교육과학사)
학교혁신의 선구자들: 슬픈 희망의 교육 생애사(2020, 교육과학사)
학교 혁신 다르게 보기: 오류와 대안(2020, 교육과학사)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