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교육은 역사의 산물인 동시에 역사를 만드는 힘이다. 현재의 교육은 고난에 찬, 그러면서도 역동적인 민족 현대사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며, 동시에 이 교육은 그 역사의 한복판에서 민족사의 전개과정에 영향을 끼쳐 왔다. 이 책은 교육학을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는 책이다. 역사와 사회적 맥락 속에서 만들어지는 교육학에 대해 여러 관점들을 비교 검토하고 있으며, 교육현실, 교육학의 과제, 학생선발 등 다양한 교육문제들을 분석하고 있다.
목차
◈ 제6판 머리말 3
제1부 교육과 사회
서 론 교육의 사회성…………………………………………………21
제1장 교육사회학의 발달……………………………………………27
1. 한국 교육사회학의 전개 31
1) ‘교육사회학’의 출발 _ 31
2) ‘학교와 지역사회’ _ 34
3) ‘교육사회학’의 부활 _ 37
2. 미국과 유럽에서의 발전 43
1) 초창기 _ 43
2) 학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확대 _ 46
3)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의 등장 _ 52
제2장 경쟁하는 이론들………………………………………………61
1. 기능주의 교육이론 67
1) 기능주의 _ 67
2) 뒤르켐의 교육 설명 _ 70
3) 파슨스의 교육 설명 _ 75
4) 기능이론의 계승 _ 79
2. 갈등론적 교육이론 81
1) 갈등이론 _ 81
2) 마르크스의 교육 설명 _ 91
3) 보울즈와 진티스의 재생산 이론 _ 93
4) 재생산 이론의 계승 _ 96
5)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_ 100
3. 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 102
1) 해석적 이론 _ 102
2) 교육에 대한 설명 _ 106
3) 해석적 접근의 한계 _ 113
4. 새로운 이론을 향하여 117
제2부 교육제도의 변천
제3장 교육제도의 형성과 확대………………………………… 125
1. 국민교육제도의 등장과 그 특징 129
1) 근대국가와 국민교육제도 _ 129
2) 국민교육제도의 성격: 보편성과 통일성 _ 136
2. 학교 본위 교육제도의 동요 139
1) 학교제도 내부의 혁신 _ 139
2) 학교 본위 제도의 개혁운동 _ 141
3. 평생교육의 등장 147
1) 평생교육의 개념 _ 147
2) 평생교육의 지향 _ 150
제4장 한국교육제도의 변천… ………………………………… 157
1. 근대적 학교제도의 도입 161
1) 개화기 이전의 교육 _ 161
2) 개화기의 교육 _ 164
2. 일제(日帝) 강점기 167
1) 식민지교육 _ 167
2) 교육 독립투쟁 _ 170
3. 분단하의 교육제도 173
1) 미 군정기의 교육 _ 174
2) 국민교육제도의 수립과 전개 _ 175
3) 몇 가지 특징과 변화 _ 181
4) 교육개혁 _ 186
제5장 학교교육의 확대와 원인………………………………… 193
1. 학교교육의 확대 197
1) 국제적 동향 _ 197
2) 한국의 학교팽창 _ 202
2. 학력상승의 원인 205
1) 학습욕구이론 _ 206
2) 기술기능이론 _ 211
3) 마르크스이론 _ 216
4) 지위경쟁이론 _ 220
5) 국민통합이론 _ 228
3. 논의 231
제3부 교육의 사회적 기능
제6장 사회평등과 교육…………………………………………… 243
1. 사회계층과 사회이동 247
2. 교육의 기능 252
1) 평등화론 _ 253
2) 불평등재생산론 _ 259
3) 무관계론 _ 264
3. 논의 269
제7장 교육평등론… ……………………………………………… 273
1. 교육기회 분배와 결정요인 277
1) 교육기회 분배상황의 측정 _ 278
2) 분배구조 _ 283
3) 교육기회 분배의 결정요인 _ 290
2. 교육평등론의 전개 294
1) 교육기회의 허용적 평등 _ 298
2) 교육기회의 보장적 평등 _ 301
3) 교육조건의 평등 _ 303
4) 교육결과의 평등 _ 304
5) 사회개혁에 의한 교육평등 _ 306
3. 교육평등정책 307
1) 교육평등 정책의 단계적 성격 _ 307
2) 교육의 사회평등화 논쟁 종합 _ 310
제8장 교육선발과 시험…………………………………………… 315
1. 학생흐름과 선발 319
1) 학생흐름 319
2) 교육단계와 선발 322
2. 입학선발 329
1) 초·중등학교 _ 329
2) 대학 _ 332
3) 한국 교육선발의 특성 _ 337
3. 시험의 기능 345
1) 시험의 교육적 기능 _ 347
2) 시험의 사회적 기능 _ 353
제9장 학업성취와 격차…………………………………………… 361
1. 학업성취의 구성요소 365
2. 학업성취 결정요인 369
1) 개인적 요인 _ 369
2) 학교 요인 _ 371
3) 가정 요인 _ 373
4) 지역사회 _ 374
5) 사교육 _ 376
3. 학교의 학업성취 향상 효과 380
1) 학급과 학교 규모 _ 381
2) 학교의 교육여건 _ 385
3) 집단편성 _ 387
4) 교사 능력과 활동 _ 389
5) 학교문화 _ 391
4. 학업성취의 격차와 원인 393
1) 지능 _ 394
2) 가정배경 _ 396
3) 지역 _ 399
4) 남녀 간 격차 _ 402
제10장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407
1. 교육과정사회학 411
2. 사회화와 표준교육과정 이론 417
1) 사회화 기능 _ 417
2) 경제체제 유지기능 _ 421
3. 지배구조와 재생산이론 424
1) 지배문화 _ 424
2) 문화제국주의 _ 429
3) 재생산이론 _ 432
4. 문화갈등과 탈재생산이론 439
1) 저항이론 _ 441
2) 상대적 자율이론 _ 446
제4부 교육사회학의 과제와 전망
제11장 교육사회학 담론의 확장………………………………… 455
1. 세계화 459
1) 세계화의 특징 _ 460
2) 교육의 변화와 과제 _ 462
2. 여성주의 467
1) 여성주의 관점들 _ 468
2) 교육상황과 과제 _ 473
3. 학습사회 478
1) 평생학습활동의 확장 _ 479
2) 학습활동 관리의 변화 _ 482
3) 교육제도와 사회의 변화 _ 487
제12장 교육현실과 교육학의 과제………………………………493
1. 성찰과 반성 497
1) 식민지 교육의 잔재 _ 497
2) 발전교육론 _ 507
3) 분단의 교육현실 _ 511
2. 교육의 새로운 현실 515
1) 교육의 본질 _ 517
2) 교육권 _ 519
3) 학습권 _ 520
4) 교육민주화: 민주화의 완성 _ 523
3. 새로운 교육학 패러다임 모색 526
1) 교육학의 성격 _ 526
2) 교육학의 새 패러다임 _ 531
◈ 참고문헌 541
◈ 찾아보기 591
저자소개
김신일(金信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과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전공하고, 미국 피츠버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음.
서울여자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한국교육사회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회장,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을 역임함.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명예회장.
「학습사회」(2020), 「평생교육론」(2019), 「서울대 김신일교수의 교육생각」(2006), 「학습사회의 교육학」(2005), 「평생교육학」(2001), 「세계속의 한국대학」(1999), 「시민의 교육학」(1995) 등의 논저가 있음.
강대중(姜大仲)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과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전공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철학박사(성인교육전공) 학위를 받음.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원장, 한국학부모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장을 맡고 있음.
한국평생교육학회 부회장,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정책보좌관을 역임함.
「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2021),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2020), 「평생교육론」(2019), 「학부모와 공교육-학부모 담론의 시작」(2019), 「최신교육학개론(3판)」(2018),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2016), 「Life and Learning of Korean Artists and Craftsmen: Rhizoactivity」(2015) 등의 논저가 있음.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