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 책은 그동안 우리나라가 발전시켜 온 평생교육의 모습과 앞으로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평생교육의 방향을 담고자 노력했다.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부분에서는 학습과 교육의 역사적 변화를 살피며 제도와 함께 교육권, 학습권 등 의식과 철학의 진화도 논의했다. 두 번째는 평생교육의 제도와 정책에 관한 부분이다. 평생교육의 내용과 특성,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를 논의했다. 세 번째는 평생교육의 다양한 영역과 대상별 실태와 발전 과제를 기술하고 논의했다. 한국 평생교육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 3
제 1 장 평생학습시대 / 11
1. 교육제도의 확장과 유연화 11
2. 문명단계별 학습관리 16
3. 교육과 학습 26
4. 학습활동 관리 30
5. 평생학습론 35
제 2 장 평생교육의 발전 과정 / 43
1. 사회교육에서 평생교육으로 44
2. 성인교육에서 평생교육으로 51
3. 담론의 확장과 평생교육 67
제 3 장 성인학습과 평생학습 / 75
1. 동물의 학습과 인간의 학습 75
2. 페다고지에서 안드라고지로 79
3. 성인학습의 이론적 지형 86
4. 자생적 평생학습 이론을 향하여 99
제 4 장 평생교육의 법령, 행ㆍ재정과 시설 / 105
1. 평생교육제도 유형 106
2. 평생교육 관련 법률 109
3. 평생교육 행정체제 110
4. 평생교육 추진기구 121
5. 평생교육시설과 기관 129
6. 평생교육 재정지원 제도 137
7. 쟁점과 향후 과제 143
제 5 장 평생교육사와 평생교육 현장 전문가 / 145
1. 평생교육 현장 전문가의 다양성 145
2.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152
3. 평생교육 현장 전문가의 실태 168
4. 평생교육 현장 전문가의 발전 과제 172
제 6 장 평생학습 결과 인정과 대학평생교육 / 177
1. 학습결과인정의 논거 178
2. 우리나라의 평생학습 결과 인정제도 187
3. 평생학습 결과 인정을 확장하기 위하여 203
제 7 장 문해교육 / 213
1. 평생학습사회에서 문해교육의 의미 213
2. 문해 개념의 변화 214
3. 비문해 발생 요인 220
4. 문해의 정책 담론 225
5. 문해학습자의 이해 230
6. 문해교육 지원정책 및 제도 235
7. 문해교육의 과제 241
제 8 장 직업진로교육 / 247
1. 직업진로 평생교육의 배경 247
2. 주요 개념과 담론 250
3. 직업진로 평생교육의 역사적 변천 259
4. 직업진로 평생교육의 쟁점 266
5. 향후 과제 270
제 9 장 시민참여교육 / 277
1. 시민참여교육의 배경 277
2. 시민성과 시민참여교육의 의미 280
3. 시민참여교육의 유형 및 현황 283
4. 시민참여교육의 한계와 과제 298
제10장 인문ㆍ예술교육 / 309
1. 평생학습의 토대로서 인문교양교육의 개념 309
2. 평생학습 맥락에서 인문교양교육의 새로운 맥락화 311
3. 평생학습 맥락에서 인문교양교육의 재설정 316
4. 문화예술교육과 평생학습 320
5. 문화예술교육 정책기조의 변화: 시민문화권의 보장과 평생학습 가치의 확대 325
6. 평생학습 맥락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과제 333
제11장 장애인 평생교육 / 341
1. 장애인과 평생교육 342
2. 장애인 평생교육의 참여 현황과 정책 355
3. 장애인의 요구 특성과 평생교육 방안 360
4. 장애인 평생교육의 발전 과제 370
제12장 이주배경자와 평생교육 / 377
1. 서론: 왜 ‘이주배경자’이고 왜 ‘평생학습’인가? 377
2. 초국가 자본주의와 이주의 다층적 풍경 379
3. 이민사회 평생교육: ‘적응’을 넘어 ‘공존’으로 388
4. 한국 이주배경자 평생교육: 현실진단과 발전 과제 396
제13장 노년기 평생교육 / 409
1. 노인교육의 등장 409
2. 노인학습자의 특징과 학습 참여 412
3. 노인교육 정책과 제도 421
4. 노인교육의 발전 과제 430
제14장 평생학습과 평생교육의 미래 / 439
1. 한국 사회의 현 단계 440
2. 지속 가능한 마을공동체 444
3. 지역에 뿌리내리는 평생학습 451
4. 공동체 강화를 위한 평생학습의 과제 458
5. 평생학습과 평생교육의 미래를 향하여 463
찾아보기 / 469
저자소개
김신일 (1장, 14장)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 미 피츠버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교수, 한국평생교육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회장, 미 노던일리노이대학교 방문교수,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백석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 『학습사회』(학이시습, 2020), 『교육사회학』(교육과학사, 2022), 『나의 학문, 나의 삶 6』(서울대학교 명예교수협의회, 2022) 등이 있다.
강대중 (2장, 3장, 14장)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 석사, 미 조지아대학교에서 성인교육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한국평생교육학회 학술위원장이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원장(2021~2023),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장(2021~2023), 한국학부모학회 회장(2020~2024), 법무부 교정정책자문단 위원(2013~2022), 교육인적자원부 부총리정책보좌관(2006~2008)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총장의 뉴 리더십: 평생교육체제 기반 대학 경영』(교육과학사, 2024),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2판)』(교육과학사, 2024), 『미래사회와 평생교육』(교육과학사, 2022), 『질적 연구: 전통별 접근』(학지사, 2022), 『대한민국 학부모』(학이시습, 2022), 『교육사회학(6판)』(교육과학사, 2022), 『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Springer, 2021),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지식공작소, 2020) 등이 있다.
최돈민 (4장, 6장)
강원자치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센터 센터장.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으로 석·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교육부 정책자문위원, 강원자치도평생교육협의회 위원으로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상지대학교 교수와 미래라이프대학 학장을 역임하였다. 한국평생교육학회 회장(2012~2013),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회장(2015~2017), 한국비교교육학회 회장(2021~2022), 학점인정심의위원회 위원장(2021~2023),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이사((2021~2023) 등을 맡았다. 저서로 『교육의 이해』(학지사, 2024), 『비교교육학과 교육학』(양서원, 2018), 『한국교육정책 현안과 해법』(교육과학사, 2013) 등이 있다.
양흥권 (4장)
대구대학교 실버복지·평생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대구대 글로컬라이프대학 학장과 평생교육원 원장이며, 영남평생교육학회장, 한국평생교육학회 부회장, 경상북도평생교육협의회 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평생교육센터 부연구위원(2004~2007),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사무총장(2013~2015), 경남평생교육진흥원 이사(2021~2023), 경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 운영위원(2017~2019)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학습세기의 교육론 평생교육론 2판』(2022),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준비와 삶의 질』(2015), 연구물로 「경상남도 생애주기별 맞춤형 평생교육체제 구축방안 연구」(2020), 「중고령 성인의 생애재설계 지원 모형개발 연구」(2021), 「한국 대학평생교육의 특성 변천에 관한 연구」(2019) 등이 있다.
김현수 (5장)
순천향대학교 창의라이프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평생교육학회 부회장, 한국평생교육사협회 이사, 교육부 재정사업 자율평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충청남도 평생교육협의회 위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평가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인정심의위원회 위원(2020~2022), 경기도평생교육협의회 위원(2020~2023), 교육부 대학교원임용양성평등위원회 위원(2019~2022), 농림축산식품부 농업마이스터 지정 심의위원회 위원(2012~2024), 교육부 대한민국인재상 중앙심사위원회 위원(2020~202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자격연구실장(1997~2014)을 역임했다. 저서로 『녹색성장 녹색직업 녹색인재』(박영사, 2009), 『자격과 직업능력개발』(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이 있다.
이지혜 (7장)
한림대학교 일송자유교양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사회학 석사와 평생교육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이사, 삼성꿈장학재단 질적종단연구 책임자(2013~현재), (사)한국북앤리터러시연구소 부소장,(사) 청소년과나란히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문화체육부 청소년위원회 전문위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책임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 한국평생교육학회 편집위원장, 국가문해교육심의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역서로는 『성인문해학습자』(학이시습, 2023), 『리딩마인드』(학이시습, 2019) 등이 있다.
현영섭 (8장)
경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성인계속교육학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인력개발학회 회장,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이사, 대구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이사를 맡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2007~2009), 국가평생교육진흥위원회 위원(2018~2019), 대통력직속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위원회 위원(2018~2020), UNESCO 한국위원회 GNLC 자문위원(2018~2019)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평생학습: 내 삶의 행복레시피』(박영스토리, 2024), 『평생교육론』(박영스토리, 2023), 『평생교육실습』(박영스토리, 2023), 『전환기의 HRD 연구의 미래를 묻다』(박영스토리, 2021) 등이 있다.
김민호 (9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사회학으로 석사학위를, 평생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UCLA와 KSU 방문 교수, 한국평생교육학회 회장, 한국초등교육학회 회장, 제주참여환경연대 공동대표,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상근전문위원을 역임했다. 『다문화 시민교육의 과제』(한국문화사, 2024), 「The implications of ‘May 4, 1970 and its aftermath’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e constitutional rights against national security ideology」(비교교육연구, 2023), 「평생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시민교육의 과제: 확장에서 혁신과 통합으로」(교육학연구, 2021) 등의 논저가 있다.
양은아 (10장)
나사렛대학교 교육학부 특수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같은 대학에서 미술경영 전공으로 두 번째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평생교육학회 이사, 한국성인교육학회 이사, (사)한국평생교육사협회 이사, 아시아태평양학습도시연맹(APLC) 자문위원, (재)한국지역사회교육재단 자문위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연구·사업관리심의위원회 위원, 충청남도 아산시 인사위원회 위원 등을 맡고 있다. 저서로 『평생학습: 내 삶의 행복레시피』(박영스토리, 2024), 『표준화 교육에서 복잡성 교육으로』(교육과학사, 2021), 『마음과 학습: 교육학의 복잡계적 접근』(교육과학사, 2017), 『대학로: 교육공간에서 문화공간으로』(교육과학사, 2017) 등이 있다.
김주영 (11장)
한경국립대학교 유아특수보육학과 교수.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특수교육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복지대학교 평생교육원 원장(2013~2014), 장애물없는생활환경시민연대 이사장(2014~2020),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회장(2016~2019), 한국장애인부모회 부회장(2020~2023)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로는 『장애인 평생교육권 실태조사 연구』(2016, 국가인권위원회), 『장애대학생 교육복지 지원 실태조사 연구』(2017, 국립특수교육원), 『경기도형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센터 운영매뉴얼 개발』(2020, 경기도), 『군산시 발달장애인 평생학습 실현을 위한 평생학습 기회 확대 연구』(2020, 군산시, 공동참여) 등이 있다.
김지현 (12장)
서울시50플러스재단 정책연구팀 연구위원.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성인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평생교육학회 이사, 한국여성평생교육회 총무이사를 맡고 있다. 영남대학교 BK21연구교수,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객원연구원을 거쳤으며 주요연구로는 「Marriage-immigrant Filipinas' acculturation and learning experiences in South Korea」 (2023, Psychology in the Schools), 「What deters some immigrants from learning the language of their new home: Factor analysis of immigrants’ deterrents to educational participation in South Korea」(2023, Asia Pacific Educ. Review), 「성인 기초 문해력 자가 진단을 위한 문항개발 연구」(2024,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국민의 문해력 진단 및 교육 프로그램개발 기초 연구」(2023, 국립국어원), 「성인문해능력조사 측정도구 개선 및 제4차 성인문해능력조사 예비조사」(2023,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민주시민교육 활동가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2021,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 등이 있다.
최일선 (13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전공 석사학위를,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에서 성인교육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노년교육학회 회장(2019~2020), 한국평생교육학회 부회장(2022~2023),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이사(2020~2022),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전문위원(2007)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미래사회와 평생교육』(교육과학사, 2022), 『은퇴수업』(학지사, 2012), 『약동하는 한국의 사회교육 평생학습』(일본어, 에이델연구소, 2017) 등이 있다.
양병찬 (14장)
공주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평생교육학회 회장과 환경부 환경교육진흥위원회 위원, 농림식품부 삶의질위원회 전문위원을 맡고 있다. 교육부 국가평생교육진흥위원회 위원(2020~2022), 서울특별시 평생교육진흥원 이사장(2020~2022), 동경대 객원교수(2022), 규슈대 객원연구교수(2023)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약동하는 한국의 사회교육 평생학습』(일본어, 에이델연구소, 2017), 『마을교육공동체 운동: 세계적 동향과 과제』(살림터, 2019), 『미래사회와 평생교육』(교육과학사, 2022), 『평생교육경영론』(양서원, 2024), 『학부모와 교사』(2024) 등이 있다.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