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과 정치교육의 재개념화와 체계적 접근을 모색하였다. 정치교육은 목표로서의 민주적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 운위되는 사회과의 중심 영역이라는 논증에서 출발하여, 목표 달성을 위한 내용으로 시민, 시민성, 정치적 인간, 의사결정, 중재, 국제사회, 분쟁, 통일, 평화 등을 논의하였으며, 방법론적 측면에서 구성주의와 과학적·철학적 접근을 소개하였고, 방법적 측면에서 강한 정치학습을 제시하였다.
목차
제1부 사회과 정치교육의 이해
제1장 사회과 정치교육의 개념
I. 사회과 정치교육의 정의
II. 사회과 정치교육의 위상
III. 사회과 정치교육의 논리
IV. 좋은 시민의 지향
제2장 정보사회와 사회과 정치교육
I. 정보사회와 정치교육
II. 정보사회의 정치현상
III. 사회과 정치교육의 방향
제3장 사회과 정치학습의 중재
I. 문제 제기
II. 정치학습에서 중재의 의미와 중재자 요건
III. 사회과 정치학습의 중재자 유형
IV. 맺는 글
제2부 사회과 정치교육 방법론
제4장 사회과 정치교육의 접근법
I. 문제 제기
II. 사회과 정치교육의 방법론적 갈등
III. 새로운 접근 : 구성주의로의 전환
IV. 구성주의 정치교육 방법
V. 맺는 글
제5장 정치사회화와 비교방법
I. 개념의 모호성과 비교
II. 정치사회화의 개념정의와 측정지표 문제
III. 정치사회화 개념의 비교가능성 확보 방법
IV. 맺는 글
제6장 플라톤의 정치교육
I. 인간 본성과 정치교육
II. 본성에 따른 정치교육 방법
III. 사회과적 함의 : 본성과 교육의 동일성
제3부 국제사회와 사회과 정치교육
제7장 사회과 통일교육
I. 들어가는 글
II. 통일교육 내용으로서 남북한 관계요인 분석
III. 남북한 관계요인의 교재화 논리
IV. 맺는 글
제8장 이라크 전쟁과 시민성교육
I. 들어가는 글
II. 정체성의 이야기 방식
III. 온라인 정체성의 재해석 : 시민성
IV. 대화 중심 시민성 교육
V. 맺는 글
제9장 국제분쟁과 평화교육
I. 문제 제기
II. 국제분쟁과 평화교육
III. 평화교육방법
IV. 맺는 글
제4부 사회과 정치교육의 실제
제10장 강한 정치교육 방법
I. 왜 강한 정치교육인가?
II. 강한 정치교육의 논리
III. 사회과의 강한 정치교육 방법
IV. 몇 가지 준거들
제11장 강한 정치학습 사례
I. 강한 정치학습 수업안
II. 정치학습 수업의 실제
제12장 문화기술: 정치교육 교재 만들기
I. 들어가는 글
II. 문화기술이란 무엇인가?
III. 정치교육 교재의 문화기술 적합성 - 분석 사례 : 안천의
저자소개
〔김․용․신〕 경기 양평의 용문고를 졸업하고 서울교대와 한국교원대에서 사회과교육을, 한국외대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했다. 서울특별시 관내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전문직, 서울교대, 한국외대, 강남대, 대진대 강사를 거쳐, 서울교대 사회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국제사회와 정치교육, 사회과학철학, 사회과 수업과 장학, 다문화 시민교육, 사회과교육학방법론 등이다. 주요 논저로는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공저, 2007), 사회과교육의 논리(공저, 2006), 정치사회화와 시민성(2006), 현대 사회와 사회과교육(공저, 2004), 사회과현장학습론(2003), 동아시아 지역질서와 국제관계(공저, 2002), 구성주의와 교과교육(공저, 1999) 등이 있다.(www.polied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