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 책에서는 사회과 지리 교실수업의 설계와 지역을 설명하고 이해하며 궁극적으로 그 가치를 판단하는 데 필요한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1부에서는 사회과 지리 교실수업의 논리와 설계, 내용과 방법 그리고 평가를 다루었다. 제2부에서는 사회과 지역 학습의 이론과 지역 교재화 방법을 살피고 초·중·고 학교 급별 지역 학습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초판의 1장, 4장, 5장, 7장을 수정하고 보완하였고, 2장, 3장, 6장은 일부분 보완하였다. 8장 초등 사회과 지역 학습에서의 교재화 연구, 9장 일본 중학교 사회과 지역 학습의 변화, 10장 고등학교 지역 학습에서의 학제적 접근을 다음과 같이 대체하였다. 8장에서는 지역 학습 내용-활동의 표준을 설정하고 사례 연구를 시도하였다. 9장에서는 촌락 지역의 사회적 공간성 변화를 분석하여 지역 학습 내용-활동의 표준을 예시하였다. 10장에서는 사회과 공간 간의 바람직한 관계를 추론하는 공간 학습을 통해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논의하였다. 지속가능발전 교육은 앞으로 지향될 방향성이란 점에서 많은 연구기반의 초석이 될 것이다.
목차
제1부 사회과 지리 교실수업의 이해
1. 설명, 이해, 가치 판단과 지리 교수방법
2. 내용 지식 분석과 교수 내용 지식의 활용
3. 가치 학습과 협동 학습의 방법과 실제
4. 학생 평가 전문성과 평가 문항의 개발
제2부 사회과 지역 학습의 이론과 실제
5. 지역 인식과 지리 교과서에서의 지역 기술
6. 지역 학습과 공간성·장소성·환경적 특성
7. 지역 학습 방법으로서 공간, 장소, 환경 학습
8. 지역 학습에서 내용-활동의 표준 설정
9. 촌락의 사회적 공간성 변화 사례 연구
10.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공간 학습
저자소개
현) 진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학과 교수
공주사범대학 지리교육과(문학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교육학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교육학박사)
한국교원대종합교육연수원 교육연구사
일본 兵庫敎育大 愛知敎育大 연구원
미국 Western Michigan Univ. 연구교수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