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목차
머리말 3
제1부 사회과 수업 설계와 교재 연구
제1장 수업의 이해 13
1. 수업의 의미 14
2. 수업을 보는 관점 16
3. 좋은 수업의 요소와 특징 21
제2장 수업 설계와 교재 연구 27
1. 수업 설계 모형 28
2. 교재 연구 모형 34
제3장 사회과의 수업 설계와 교재 연구 41
1. 사회과 교육과정의 이해 42
2. 사회과의 수업 설계 모형 47
3. 사회과의 교재 연구 모형 54
제2부 사회과의 교수 방법
제4장 강의식 수업 75
1. 강의식 수업의 의미와 목표 76
2. 강의식 수업의 특징 77
3. 강의식 수업의 유형과 방법 78
4. 강의식 수업의 장점과 단점 81
제5장 개념 학습과 일반화 학습 84
1. 개념 학습의 의미와 목표 85
2. 속성 모형 93
3. 원형 모형 96
4. 상황 모형 100
5. 개념 학습의 효과와 전략 104
6. 일반화 학습 106
제6장 문답식 수업 109
1. 문답식 수업의 의미와 목표 110
2. 문답식 수업의 장점과 단점 112
3. 문답식 수업과 질문의 유형 115
4. 문답식 수업의 방법 124
5. 문답식 수업의 적용 129
6. 문답식 수업의 한계 130
제7장 탐구 수업 132
1. 탐구 수업의 의미와 목표 132
2. 탐구 수업의 방법 134
3. 탐구 수업의 적용 135
4. 탐구 수업의 전략 143
제8장 문제 해결 학습 145
1. '문제'의 성격과 종류 146
2. 문제 해결 학습의 의미와 목표 149
3. 문제 해결 학습의 방법 150
4. 문제 해결 학습의 적용 155
제9장 문제 중심 학습(PBL) 157
1. 문제 중심 학습(PBL)의 의미와 목표 158
2. 문제 중심 학습의 방법 162
3. 문제 중심 학습의 적용 166
4. 탐구 수업, 문제 해결 학습, 문제 중심 학습의 비교 168
제10장 의사 결정 수업 171
1. 의사 결정 수업의 의미와 목표 172
2. 개인적 의사 결정 수업의 방법 176
3. 집단적 의사 결정 수업의 방법 182
4. 의사 결정 수업의 한계 186
제11장 논쟁 문제 수업 188
1. 논쟁 문제 수업의 의미와 목표 188
2. 논쟁 문제 수업의 방법 191
3. 논쟁 문제 수업의 적용 195
4. 논쟁 문제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201
5. 논쟁 문제 수업의 한계 205
제12장 토론 수업 207
1. 토의와 토론의 의미 208
2. 토론 수업의 목표와 효과 210
3. 토론 수업의 유형 213
4. 토론 수업의 방법: 배심 토의, 짝 토의, 찬반 대립 토론 214
5. 토론 수업의 규칙과 교사의 역할 220
6. 토론 수업과 논쟁 문제 수업의 비교 222
제13장 협동 학습 224
1. 협동 학습의 등장 배경 225
2. 협동 학습의 목표와 필요조건 227
3. 과제 분담 학습 모형(Jigsaw) 232
4. 집단 성취 분담 모형(STAD) 239
제14장 가치 수업 242
1. 가치 수업의 의미와 목표 243
2. 가치 주입의 방법과 한계 245
3. 가치 명료화의 방법과 한계 246
4. 가치 분석의 방법과 적용 249
제15장 현장 학습과 체험 학습 255
1. 현장 학습의 의미와 목표 256
2. 현장 학습의 유형과 방법 258
3. 체험 학습의 의미와 목표 260
4. 체험 학습의 유형과 방법 264
5. 체험 학습의 모형 266
6. 체험 학습 프로그램의 적용 273
제16장 지역 학습 281
1. 지역 학습의 의미와 목표 282
2. 지역 학습의 내용 283
3. 지역 학습의 방법 285
4. 지역 학습의 한계 286
제17장 지도 학습 288
1. 지도 학습의 의미와 목표 289
2. 지도 학습의 내용 290
3. 지도 학습의 방법 297
4. 지도 학습의 한계 299
제18장 이야기식 수업 301
1. 내러티브로서 역사 302
2. 이야기식 수업의 의미와 목표 303
3. 이야기식 수업의 방법 306
4. 이야기식 수업의 효과와 한계 307
제19장 사료 학습 309
1. 사료의 의미와 성격 310
2. 사료 학습의 의미와 목표 311
3. 사료 학습의 방법 312
4. 사료 학습의 효과 317
제3부 사회과의 평가
제20장 사회과의 평가 321
1. 사회과 평가 방식의 전환 322
2. 사회과 수행 평가의 방법 324
3. 사회과 수행 평가의 전략 333
참고문헌 335
찾아보기 344
부록 346
1. 사회과 교재 연구 방법(양식) 346
2. 사회과 수업 분석표 348
저자소개
박상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과를 졸업하고, 2004년 이후 전주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에서 가르치고 있다. 교사의 비전과 전문성을 겸비한 '좋은 교사를 양성하는 운동'과 '정의로운 학교'를 만들기 위해 교육 운동과 시민단체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주요 저서와 논문:
저서에 '비판적 사고와 문답식 수업'(2006),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공저, 2010), '사회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2011), '사회과 교육의 이해'(2013)가 있고, 논문에 '행위 성향 중심의 시민교육'(2002 박사논문), '다문화사회에서 법교육의 방향 연구'(2009), '인권 판단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2010), '다문화 시민성의 육성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방안'(2012), '헌법교육의 내용 구성 방안'(2013), '소수자의 차별 분석과 소수자 권리 보호 위한 통합적 접근'(2014) 등이 있음.
자세한 논문 자료는 블로그를 참조.
*저자의 블로그: blog.daum.net/psj68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