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이 학교교육과정의 일부로 도입된 지 20여 년이 지난 지금, 과연 우리나라에서 봉사학습이 제대로 실행되고 있는지 점검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역자들이 우리나라에서의 봉사활동이 활동의 결과 자체보다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배우는 진정한 봉사학습으로 거듭날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하던 중 접하게 된 책이 바로 댄 부틴(Dan W. Butin)의 "Service-Learning ing Higher Education"이다. 미국의 경우, 1980년대부터 봉사활동을 시민윤리의 학습과정에 응용하고 적용하여 봉사활동(Community Service: 지역사회봉사)과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을 구분해, 학생들의 봉사활동이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방안이나 요인들을 규명하려는 많은 이론적 연구 및 경험적 연구들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이상적으로 자리잡은 것처럼 보이는 미국 고등교육에서의 봉사학습에 대해 다시 점검하고 재정비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강력하게 말하고 있다.
목차
역자 서문 3
서문: 봉사학습의 정상화 휘젓기(댄 부틴) 8
각장 개요 15
규준적 기초 휘젓기 22
감사의 말 25
참고문헌 27
기고자 소개 29
I부 봉사학습의 미시 정치학과 미시적 실제
Chapter 1 봉사학습의 이면 들여다보기: 학생 저항과 가능성 37
Chapter 2 "도대체 누구의 학교인가?" 도시 학급 학생들의 목소리 67
Chapter 3 "저는 결코 그것을 등질 수 없습니다." 94
: 심리적 한계 상태와 계급이 봉사학습 경험에 미치는 영향
Chapter 4 이원성의 세계를 넘어서: 봉사학습에 대한 나의 견해 126
Chapter 5 장소들의 변화: 공간 이론화와 봉사학습에서의 권력 역학 131
Chapter 6 포스트모던 페다고지로서의 봉사학습 158
II부 봉사학습 실제의 변혁적 모델
Chapter 7 실천공동체의 진화: MG 101에서의 이해관계자와 봉사 187
Chapter 8 인권과 인간의 잘못: 봉사학습을 통한 정치학의 실제화 215
Chapter 9 "아무도 거기에 발을 내디딘 적이 없다." 230
: 도시(Our Town) 안에서의 인종차별에 대한 학습
Chapter 10 북아일랜드 버크넬에서의 정체성 변화 요인으로서의 봉사학습 258
Chapter 11 용광로로서의 봉사학습: 몰입, 맥락, 힘 그리고 변혁에 대한 성찰 277
III부 봉사학습 제도화의 틀 다시 짜기
Chapter 12 봉사학습 실행을 위한 미학적 기초 309
Chapter 13 대학 환경 속에 뿌리내리기: 봉사학습 제도화의 과제들 322
찾아보기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