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수업이 무언가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배움의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내 수업을 통해 우리 학생들이 배움의 즐거움을 경험하길 바라는 것이 내 수업의 목표 중 하나이다. 학기 말에 실시하는 강의 평가 결과가 상당히 높은 것에 비추어 볼 때 그 목표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것 같아서 마음이 조금은 가볍다. 내가 좋아하고 우리 학생들이 좋아해 준 사회문화적 관점에 기초한 나의 수업 과정을 이 책에서 하나씩 공유하면서 이 관점으로 교육과 세상, 그리고 자신을 지속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공감대를 독자들과 갖고 싶다.
목차
┃저자 서문┃3
┃들어가며 : 나의 수업 구성┃12
제1부 왜 나는 학습관 혹은 삶의 관점을 강조하는가? 21
1.1. 현존하는 세 가지 학습관/세상을 보는 관점 23
1.1.1. 학습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 25
1.1.2. 학습에 대한 철학적 관점 30
1.1.3. 학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 37
1.2. 절충이 아닌 자신의 관점 찾기 43
1.2.1. 삶의 방향으로써의 관점 45
1.2.2. 삶의 뿌리로써의 관점 48
1.2.3. 이론과 삶을 연결시켜주는 관점 52
1.2.4. 관점에 따라 교육과 세상이 달리 보인다 54
1.2.5. 관점은 강요가 아닌 치열한 고민의 결과이다 59
1.2.6. 사회문화적 관점과 구성주의의 차이 62
제2부 왜 사회문화적 관점인가? 69
2.1. 포스트모더니즘 75
2.1.1. 관심사: 다원주의의 이면에 초점 75
2.1.2. 포스트모더니즘 특징: 세상에 중립은 없다 78
2.1.3. 핵심어(1): 권력 82
2.1.4. 핵심어(2): 갈등 84
2.1.5. 핵심어(3): 비판적 사고 86
2.1.6. 핵심어(4): 정체성 89
2.2. 상황 학습 92
2.2.1. 이론이 아닌 학습을 이해하는 관점 92
2.2.2. 핵심어(1): 합법적 주변 참여 96
2.2.3. 핵심어(2): 실천 공동체 101
2.2.4. 핵심어(3): whole person 104
2.2.5. 학습의 의미: 삶의 모든 것이 학습이다 107
제3부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교육을 들여다보면? 111
3.1. 새롭게 보이는 학문의 정체성 113
3.1.1. 교육학: 사회 과학일 때 놓치는 것들 113
3.1.2. 교육 공학(1): 진보적 관점 115
3.1.3. 교육 공학(2): 기술보다 인문학적 사고 중시 118
3.1.4. 부모 교육학: 대상은 자녀가 아닌 부모 자신 123
3.1.5. 교육 심리학: 기준에서 자유로워지다 126
3.2. 주체자로서의 개인의 정체성 131
3.2.1. 정체성이 지식 습득의 허전함을 채워주다 131
3.2.2. ‘나’로 시작되는 질문들 133
3.2.3. 당위적인 논의 대신 ‘나’의 문제로 고민하기 136
3.2.4. 내 수업부터 바꾸기 138
3.2.5. 잦은 제도 변경 대신 ‘나’부터 바꾸자 140
3.2.6. 교육에 대한 이기심, ‘나’부터 성찰하자 144
3.2.7. 대학 교육을 통해 ‘나’를 알아가기 147
3.3. 관계 중심 수업 150
3.3.1. 내 수업에서 활용되는 세 가지 관계 유형 150
3.3.2. 대화를 통한 관계 맺기 152
3.3.3. 듣기의 중요성 155
3.3.4. 집단 지성의 경험: 월드 까페 157
3.3.5. 지속적 경험으로써의 질문 160
3.3.6. 지속적 경험으로써의 성찰 165
3.3.7. 사소한 성찰도 충분하다 167
3.4. 기존과 달리 보이는 교수법 170
3.4.1. 학습에 대한 고정 관념 깨기 170
3.4.2. 학습관에 따라 달라지는 수업 목표 173
3.4.3. ‘나’를 알아가는 과정을 학습 목표로 삼기 176
3.4.4. 교육 목표에 대한 고정 관념 깨기 178
3.4.5. 교수법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 내려놓기 181
3.4.6. 교수법 트랜드에 매몰되지 않기 184
3.4.7. 교수법, 개념이 아닌 목적에 초점을 두기 186
3.5. 학습자: 자신의 목소리를 주체적으로 내기 189
3.5.1. 학생이라는 호칭 대신 ◯◯씨 189
3.5.2. 학생은 스스로 변화하는 존재 191
3.5.3. 교수자가 아닌 학습자의 관심사로 논의하기 193
3.5.4. 전문가의 개념에 얽매이지 않기 195
3.5.5. 교수자에게 ‘아니요’라고 말하기 199
3.5.6. 비난이 아닌 비판적으로 사고하기 201
3.5.7. 학자의 주장이 아닌 자신의 견해를 말하기 204
3.6. 교수자: 권력을 내려놓고 배움을 논의하기 207
3.6.1. 교수자의 중립성에 대한 비판적 사고 207
3.6.2. 교수자의 사명감, 그 무게를 내려놓기 209
3.6.3. 강의 평가를 통해 학생들을 더 이해하기 211
3.6.4. 행복/고뇌/위안 등을 넘나드는 교수자 213
3.6.5. 지식이 아닌 배움을 학습자와 논의하기 216
3.6.6. 교수자로서의 정체성을 고민하기 218
3.6.7. 의무감 대신 배움에 집중하는 수업 제공 221
3.6.8. 지식 전달이 아닌 논의와 성찰의 수업 제공 224
3.6.9. 학습자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존중하기 227
3.6.10. 교육을 분류가 아닌 통합으로 이해하기 229
3.6.11. 연령에 따른 이분법적 사고 내려놓기 231
3.6.12. 학생을 미숙하다고 생각하지 않기 234
3.7. 교육과 사회는 분리가 아닌 함께 논의하기 237
3.7.1. 교과서의 중립성에 대한 비판적 사고 237
3.7.2. 초등교육의 기초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 239
3.7.3. 체벌에 대한 비판적 사고 241
3.7.4. 이상향 대신 현실의 문제를 직시하기 243
3.7.5. 학교와 삶, 지식과 깨달음의 차이 246
3.7.6. 교실과 사회의 경계를 허물다 249
제4부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세상을 들여다보면? 253
4.1. 인내심 갖기 255
4.2. 죄책감 내려놓기 258
4.3. 자신의 위치에서 사회 정의를 위해 노력하기 261
4.4. 대학을 사회적 기준이 아닌 ‘교육 기관’으로만 보기 265
4.5. 삶의 어디에서나 필요한 비판적 사고를 갖기 268
4.6. 비판적 사고의 주체자 되기 270
4.7. 당위론적인 생각이 아닌 ‘나’의 문제로 고민하기 273
4.8. 과학 기술 발전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갖기 277
4.9. 인공 지능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갖기 280
4.10. 한 번에 하나씩 천천히 실천하기 282
4.11. 관점을 생활 속으로 끌어들이기 285
4.12. 인간에 대한 완벽함을 내려놓기 287
4.13. ‘나’의 삶 속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기 290
4.14. 생활 속 인터넷 기사들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갖기 293
4.15. 삶에서 느끼는 ‘당연함’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갖기 298
4.16. 분석과 공감 능력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 내려놓기 301
4.17. 아이를 있는 그대로 존중하기 305
4.18. 경쟁의 결과에 고정 관념을 덧붙이지 않기 309
4.19. 포기와 좌절 대신 용기와 실천하기 311
4.20.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 맺기 314
4.21. 생활 속의 사회 운동가 되기 317
4.22. 권력을 내려놓고 흔쾌히 잘못을 인정하기 320
4.23. 영상 매체를 보며 비판적 사고를 갖기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