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수업설계 다시보기>는 교육과정과 수업이 어떻게 실제로 관련되는지, 빅 아이디어에 해당하는 영속적 아이디어와 핵심개념의 관점에서 선택 중심choice-based 미술교육의 탐구로 학생들의 참여를 증가시키는 미술 수업설계에 대한 책이다. DBAE와 포스트모더니즘, 핵심개념 중심의 미술교육 이론과 수업을 폭넓게 이어주면서 교사들이 어떻게 현재 수업과 실기 활동을 정체성, 갈등, 관계와 같은 의미 있고 보편적인 주제를 중심으로 조직할 수 있는지, 영속적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백워드 설계, 단계별 가이드라인, 검증된 워크시트와 차트, 실제 연구 단원의 예시, 실습 가능한 워크시트, 루브릭 샘플 등의 내용을 다룬다.
- 오늘날 우리가 왜 미술을 가르치는지, 그리고 어떻게 미술에서 효과적인 가르침과 학습을 창조하는지에 대한 핵심개념을 고려하는 모든 미술교육자에게 필수적인 책이다. 현재적이고 사려깊으며, 창조의 기쁨을 더하게 한다. 새로운 교육자들이 그 분야에 탁월해지도록 하는 책이다.
- 미술실습 지도교수님이 내가 소장하고 싶어질 훌륭한 책이라고 하셨다. -Sophie Beck
- 통찰력 있고 유익하다. -Brenda W. McCullers
- 필수적으로 읽어야 하는 책이다. -Joan Crane
목차
편집자의 소개 글 5
감사의 말 7
옮긴이의 말 8
Chapter 1. 서문 17
- 이 책의 중심내용은 무엇인가 18
- 누가 이 책을 읽어야 하는가 21
- 이 책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23
Chapter 2. 맥락 내에서 교육과정 재검토하기 29
- 예술과 인간 경험: 변화하는 전제 31
- 예술에서의 표준 및 부상되고 있는 평가 34
- 구성하기: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개념 35
- 실제화하기와 연결하기 37
- 미술교사의 역할을 재검토하기 38
- 교육과정 재고하기: 현명하게 선택하기 40
- 확고한 기초로서의 영속적 아이디어 41
- Big 5: 교육과정 개발 과정의 핵심 요소 44
주 및 참고문헌 48
Chapter 3. 중시하기: 단원 기초 51
- 영속적 아이디어와 교육과정 기초 53
- 맥락 속에서의 영속적 아이디어 55
- 영속적 아이디어의 연령 수준 56
- 왜 영속적 아이디어로 미술 학습의 틀을 만들어야 하는가? 61
- 연관성과 다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선택하기 63
- 수업을 위한 단원 기초 개발하기 64
- 영속적 아이디어 선택하기 73
주 및 참고문헌 75
Chapter 4. 선택하기: 단원 기초 작성을 위한 수업 내용 선택 79
- 예술 지식: 앎의 방법 80
- 핵심 예술의 이해 82
- 미술 비평: 개념적 구조 83
- 수업 실천에서의 미술 비평: 인간, 기념물, 그리고 고통 85
- 미술 비평과 미학적 문제 88
- 미술사: 개념적 구조 88
- 수업 실천에서의 미술사: 장소의 감각 89
- 미술사 탐구에 참여하기 93
- 작품 제작: 개념적 구조 95
- 수업 실천에서의 작품 제작: 기묘한 현실 96
- 미학: 개념적 구조 99
- 수업 실천에서의 미학: 기념물 100
- 핵심 이해를 위한 조사 과정 구성하기 104
주 및 참고문헌 106
chapter 5. 학생들의 배움을 도와주기: 지도 111
- 단원 기초를 지원하는 경험의 다양성 113
- 심층적 이해를 위한 지도 116
- 적절한 내용: 학습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 118
- 탐구의 길을 제시하기 120
- 기본 사항: 지도 계획에서의 고려 사항 125
- 학생들이 성찰하도록 하기 139
- 내용과 지시의 확인 140
주 및 참고문헌 142
Chapter 6. <이해>를 목표로 하기: 평가와 교육과정 145
- 평가는 계획에 필수적이다 148
- 평가는 가르침을 위해 자연스러운 것이다 149
- 연계의 중요성 150
- 평가의 새로운 목표 153
- 기준의 중요성 155
- 투명성 157
- 중요한 점을 명확하게 하기 158
- 중요한 것 평가하기 159
- 평가: 학습의 도구 161
Chapter 7. 미술 그리고 통합 교육과정 171
- 미술 수업을 다른 과목에 연결하기 173
- 영속적 아이디어, 동시대미술, 의미 있는 통합 174
- 미술과 은유적 이해의 사용 181
- 미술, 그리고 앎의 미적 차원 183
주 및 참고문헌 188
Chapter 8. 시각문화와 교육과정 193
- 시각문화란 무엇인가? 195
- 문화 중재자로서의 사진 197
- 미술과 시각문화 198
- 이미지의 힘: 오드리 플랙의 <메릴린>과 보그 표지 201
- 미술, 자아, 세계에 참여하기 204
- 영속적 아이디어와 시각문화 205
주 및 참고문헌 216
부록 A: 포괄적인 미술교육 단원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221
부록 B: 영속적 아이디어를 해체하는 6가지 접근 방법 227
부록 C: 공부할 단원을 계획하기 229
부록 D: 샘플 워크시트 243
워크시트 1: 지식 기반 구축: 특정 장소(나의 위치) 설명하기 243
워크시트 2: 개인적 이야기를 위한 발굴 244
워크시트 3: 성과 과제 계획 245
찾아보기 247
저자소개
/지은이 소개/
메릴린 G. 스튜어트┃Marilyn G. Stewart
쿠츠타운 대학교 명예교수로, Explorations in Art 1~6학년 시리즈의 수석 저자 및 중학교 시리즈의 공동 저자, Rethinking Curriculum in Art의 공동저자, Thinking Through Aesthetics의 저자이며 미국 데이비스 출판사의 Art Education in Practice 시리즈의 편집자이다. [디너 파티] 커리큘럼 프로젝트 디렉터, PBS 시리즈인 [Craft in America]의 교육자 가이드 프로젝트 코디네이터를 비롯하여 기조 연설자, 미국의 국가 교육과정 프로젝트의 자문을 맡고 있다. 미국의 국가 시각예술 표준 및 평가 모델 팀의 일원으로, 35개 이상의 주에서 200개 이상의 기관에서 세미나를 수행했다. 2011년 미국 미술교육협회NAEA의 올해의 미술 교육자, 2016년 비센버거Wiesenberger 우수 교수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시드니 R. 워커┃Sydney R. Walker
오하이오 주립대학 명예교수로 유·초·중·고·대에서 미술 교육을 지도하고 미술 실습 및 현대 이론과 관련된 대학원 및 학부 과정을 강의해 왔다. Annenberg-Getty 재단과의 협업에 의한 [예술적 도전을 통한 교육 혁신Transforming Education Through the Arts](1998~2003)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이 책 Rethinking Curriculum in Art를 메릴린 G. 스튜어트와 공동 저술했다. 미술 실습 및 교육과정 이론에 관한 많은 학술 논문 및 Teaching Meaning in Artmaking의 저자이다.
/옮긴이 소개/
류지영┃
일본 국립 동경학예대학교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일본 요코하마 국립대학교 강사와 객원연구원,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교환교수와 일본 정부지원 초빙교수 등을 역임했다. 춘천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회장, 한국조형교육학회 부회장 등으로 교사교육과 함께 예술영재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연구재단 연구와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업 등 미술교육 관련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동해왔다. 미술교육, 미술감상교육, 수업 연구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저서로 『미술감상교육』, 『커뮤니케이션 미술감상』, 『미술감상』(2019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 외 다수, 역서로 『박물관교육의 기본』, 『미술관교육』(공역), 『미술 수업설계 다시보기』, 다수의 학술논문이 있다. 2017년 미술교육 연구 분야의 업적과 학술연구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김정학술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