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 책을 통해 우리는 그동안 잘 생각해보지 않았고 먼 곳의 남의 일처럼 받아들였던 한국의 마을성에 담겨 있는 의미를 좀 더 구체화하여 밖으로 드러내려 하였다. 우리는 지난 2년 동안 여러 차례 마을을 방문하였고, 또 마을의 여러 분들과 많은 대화를 나누었으며, 심지어 어떤 경우는 학생들과 함께 농사체험 활동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런 일련의 활동을 통해 오늘 한국 농촌 마을이 당면한 핵심과제가 무엇이며, 또 마을에 어떻게 접근하여 ‘찾아오는’ 마을로의 전환을 시도할 수 있느냐를 찾으려 하였다.
이 책은 시골 마을 관련의 보잘것없는 작은 이야기(서사)에 불과할 수 있지만, 우리가 관심을 가지려 한 점은 마을을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아야 하며 또 마을성의 의미를 어떻게 제대로 살려낼 수 있느냐에 두었다는 사실이다. 동시에 우리는 마을살이를 통해 인류에게 공동체적 삶이 갖는 중요성을 부각하여 밝히려 하였다. 이런 마을성의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우리는 점점 고도화하여 다가설 AI 로봇시대 인간의 삶이란 어떤 모습이어야 하며, 또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반성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하려 하였다. 마을성(이웃성)이야말로 AI 로봇시대 상황에서 한층 더 요청되는 시대적 과제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목차
┃머리말┃ 3
제1장 섶마리의 자연과 환경 9
1. 섶마리의 유래 11
2. 강이 비단처럼 고운 금천 14
3. 방천술 갖고 인심 낸다 16
4. 전설을 품은 용두소 20
5. 공장터를 생태공원으로 탈바꿈하다 23
제2장 섶마리의 역사와 문화 27
1. 운강고택: 마을의 으뜸 고택 29
2. 만화정(萬和亭): 양반문화의 정수 34
3. 이승만 대통령 일화를 볼 수 있다 39
4. 선암서원: 지역학의 전당 40
제3장 섶마리의 마을공동체 47
1. 철마가 지나면 역촌이 된다 49
2. 피난민 섶마리에 몰려들다 52
3. 섶마리 마을 공동체가 살아 있다 55
4. 마을 연대 공동체의 구심점: 금천초등학교 56
5. 선주민 이주민을 포용하다 61
6. 우리는 세계시민이다 69
제4장 섶마리의 사람들: 어제, 오늘, 내일 79
1. 섶마리의 뿌리: 노년의 삶 81
2. 섶마리의 기둥: 마을 이장의 삶 86
3. 섶마리의 기둥: 농사꾼 부부의 삶 92
4. 섶마리의 뻗어가는 가지: 이주 여성의 삶 97
5. 섶마리의 뻗어가는 가지: 귀농인의 삶 103
6. 섶마리의 뻗어가는 가지: 닥종이로 엮어가는 삶 108
제5장 대학생 농촌활력 대안을 제시하다 115
1. 한국 농촌 마을의 현주소 117
2. 질문 하나: 청년층이 농촌 마을에 살지 않는 이유 123
3. 질문 둘: 청년층 유입을 위한 마을 변화 126
4. 대학생 농촌 마을 활성화에 기여하다 130
5. 청년이 본 농촌 관광 활성화 방안 152
제6장 유학생 시선으로 본 한국 농촌 마을 165
1. 유학생 농촌 마을 매력에 빠지다 167
2. 중국 유학생 입장에서 바라본 농촌 마을 178
3. 베트남 유학생 입장에서 바라본 농촌 마을 185
4. 우간다 출신 유학생이 바라본 농촌 마을 191
5. 인도 출신 유학생이 들려준 농촌체험기 198
<후기> 209
참고한 책 214
저자소개
정용교
영남대학교 교수, 다문화교육연구원장
저서: 「세계의 학교교육」, 「사회윤리와 국가윤리」, 「세계시민교육」 외
전경미
영남대학교 다문화교육연구원 연구원
남선이
영남대학교 다문화교육연구원 연구원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